만약 한글이 없었다면 우리나라의 비약적인 경제발전과 민주화, IT강국 실현은 어려웠을 것이다.
한글은 자음 14개와 모음 10개 등 단 24개의 자모로 8800개의 소리를 표현할 수 있는 경제적인 문자이다. 그리고 한글의 정보처리 속도는 일본어와 중국어에 비해 월등해 IT강국의 튼튼한 버팀목이 되고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체계적인 국어정책은 국가의 경쟁력을 떠받치는 주춧돌이다. 국어 진흥 주무부처인 문화관광부도 이러한 점을 인식하고 다양한 국어정책을 펼치고 있으며 부처 내부적으로도 한글 사랑을 실천하고 있다.
정책적으로는 국어기본법과 한글의 해외진출을 위해 다양한 사업을 펼치고 있다. 지난 7월 시행된 국어기본법은 공공기관의 공문서를 비롯해 홈페이지 이름이나 기관 이름 등을 우리말로 하도록 권하고 있다. 이와함께 한글을 외국에 널리 알리고 한글을 대표적인 한브랜드화하기 위한 사업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또 문화부는 한글사랑 실천을 솔선수범하기 위해 한글 맞춤법 및 문법 교정 소프트웨어를 도입해 각종 공문서의 한글 사용에도 앞장서고 있다.
지난 6월부터 11월까지 이 소프트웨어를 전자결재 및 홈페이지와 연계·구축함해 행정문서 작성·보도자료·공보지·책 교정 등에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다.
또 산하기관으로 국어정책 실무을 담당하고 있는 국립국어원도 이 소프트웨어를 사용해 규정적용 및 새로운 말을 반영하는 등 한글 오용을 줄이기 위해 애쓰고 있다.
문화부 정보화담당관실 홍승현 사무관은 “행정문서는 기관의 얼굴이므로 내용도 중요하지만 경직된 한자어, 일본식 한자표기, 잘못 사용하는 외래어와 어법에 맞지 않는 문장은 문서와 기관에 신뢰도와 바로 연결되어 아주 중요하다고 판단된다”며 교정소프트웨어 도입배경을 밝혔다.
또 행정용어 순화운동은 오랜 관행으로 굳어져 쉽게 바꾸기 어렵지만 시스템에 반영, 사용하면 조직이 바뀌어도 연속성을 가질 수 있다는게 도입이유이다.
직원들은 급하게 문서를 작성해야 하는 경우나 많은 양의 자료를 작성할 때 불안했으나 이 소프트웨어를 활용함으로써 문서 품질을 높이고 쉽게 교정할 수 있어 업무시간을 단축할 수 있었다며 좋은 반응을 보이고 있다.
그동안 잘못된 단어인지도 모르고 사용해오던 단어가 잘못된 것임을 알게되면서 공문서 작성에 더욱 신중을 기하게 되고 결과적으로 국민과 친근한 정책을 수립하는데도 한몫을 하고 있다는 평이다.
한글단체들은 이에 대해 대해 “한글이 아무리 뛰어나더라도 나라 내부에서 홀대 받는다면 아무런 의미가 없다”며 “이러한 한글사랑이 문화부 뿐만 아니라 각 부처로 확대되어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권상희기자@전자신문, shkw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