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5월 12일 중국 쓰촨성 원촨현 일대를 강타한 진도 7.8의 대지진은 쓰촨성뿐 아니라 13억 중국 전역에 엄청난 타격을 안겨 주었다. 실종자 8만여명에 부상자 25만여명, 이재민은 500만명이 넘을 것이라고 한다. 전 세계 237개 국가 중 인구 500만명 이상이 111개니 가히 한 국가 규모의 피해를 봤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더욱이 외신들은 복구에 얼마나 오랜 세월이 걸릴지 모른다고 전하고 있다. 자연재해의 위력이 어느 정도인지를 단적으로 말해준다.
기상청 재해 통계는 태풍 등 기상재해에 따른 경제적 피해 규모가 1960년대 연평균 1000억원에서 1990년대 6000억원, 2000년 이후에는 2조7000억원대로 급증했다고 밝히고 있다.
삼성경제연구소 보고서에 따르면 20세기 들어 산업화가 급속히 진행되면서 지구의 평균온도는 1900년 이후 60년간 0.14도가 상승한 데 비해 1960년 이후 45년간은 0.60도나 올랐다고 한다. 이로 인한 기상이변으로 전 세계 환경난민이 1억명을 넘었다는 것이다. 물론 기후변화의 가장 큰 원인은 지구온난화다.
유엔 산하기구인 기후변화에관한정부간위원회(IPCC)는 지난 2007년 2월 지구온난화를 자연재해에 따른 ‘천재’가 아니라 산업화가 가져온 ‘인재’로 규정해 경각심을 고취시켰다.
쓰촨 대지진도 중국이 세계 최대 규모라고 자랑하는 샨사댐이 원인이라는 설이 제기되고 있다. 즉 과다한 저수량과 수압으로 지표층의 변화가 오면서 주변지역에 지진을 일으켰다는 얘기다.
문제는 기후변화의 여파가 한반도를 결코 비켜가지 않는다는 사실이다. 우리나라도 여름철 호우재해 발생빈도가 지난 1940년부터 40년간 연평균 5.3회에서 1980년 이후 20년 동안 8.8회 이상으로 늘어났다. 자연재해는 농경지 침수나 인명 피해뿐 아니라 도로, 산업설비로 이어져 생산 중단에 따른 수출에 막대한 타격을 준다. 수출로 먹고사는 우리로서는 심각한 문제가 아닐 수 없다.
단적인 예로 2002년 태풍 루사로 인한 인명 피해는 246명에 재산 피해가 5조원이 넘었으며 2003년 태풍 매미는 인명 피해 130명에 재산피해 4조7800억원을 남겼다.
지구온난화는 화석연료의 과다한 사용에 따른 이산화탄소 발생 때문이다. 2005년 교토의정서가 발효, 시행됐으나 한국은 당시 경제상황을 감안해 멕시코와 함께 OECD국가 중 의무를 면제받았다. 그러나 현재 에너지 사용량 세계 11위, 이산화탄소 발생 세계 9위라는 점을 볼 때 2차 시행기간인 2013년부터는 이 협약에서 자유로울 수 없을 것으로 예상된다.
때마침 교육과학부는 지난주 세계적으로 이슈화되고 있는 기후변화의 과학적 해결을 위해 ‘기후변화 대응 연구개발 마스터플랜’(2008∼2012)을 수립, 지식경제부·환경부·국토해양부 등과 공동으로 추진한다고 밝혔다. 주요 내용으로 온실가스 감축 가능량 분석과 기후산업 관련 신성장동력 분야 창출 등을 담고 있다. 특히 올해에만 관측 및 예측 분야, 화석연료 대체 분야, 에너지 이용 효율화 분야, 온실가스 처리 분야 등에 4500억원을 투자할 예정이라고 한다.
또 오는 8일부터 이틀간 일본 홋카이도 도야코에서 개최되는 G8 확대 정상회의에 참석하는 이명박 대통령도 기후변화 대응의 시급성과 기후변화 위기 극복을 위한 저탄소사회를 신성장동력의 기회로 삼아 녹색성장을 이루겠다는 새 정부의 정책기조를 밝힐 예정이라고 한다.
이제 본격적인 장마철이다. 매년 되풀이되는 홍수와 태풍 피해를 근본적으로 줄일 수는 없겠지만 지금부터라도 정부와 국민 모두가 기후변화에 관심을 갖고 적극 나서야 할 때다. 지금도 결코 이르지 않다.
홍승모부장 smhong@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