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스크라인]MB, 인터넷과 먼저 친해져라

[데스크라인]MB, 인터넷과 먼저 친해져라

 비즈니스 프렌들리를 내세워 국민의 압도적인 지지를 받은 지 100일이 갓 지났을 뿐인 MB 정부가 마구 흔들리고 있다. 대운하에서 시작된 국민과의 소통 마찰은 촛불집회에서 극에 달했다. 이제는 북한의 금강산, 일본의 독도 도발로 외교력의 부재라는 비판까지 받고 있다. 이런 와중에 노무현 전 대통령과 봉하마을 이지원 시스템 논쟁을 일으켜 또 한번 네티즌들을 시끄럽게 하고 있다.

 MB의 행로는 노 전 대통령과 많이 닮았다. 취임 초기부터 논쟁의 중심에 서 있는 것부터 그렇다. 여론에 아랑곳 하지 않고 자기식대로 밀어붙이는 방식도 비슷하다. 노 전 대통령은 취임 초기 국회의 탄핵까지 받았다.

 그러나 분명한 차이점이 있다. 노 전대통령이 가장 대표적인 친 인터넷 대통령이라면 MB는 가장 반 인터넷 대통령으로 인식되고 있다. 노 전대통령은 국회의 극렬한 반대에도 불구하고 인터넷에서는 오히려 지지를 받았다. MB는 그 반대다. 국회가 아닌 인터넷에서 저항에 부딪혔다. 그 저항이 얼마나 거세든지 촛불집회로 현실화 되기에 이르렀다.

 인터넷은 갈수록 발전되고 있는 데 대통령은 오히려 시대 흐름보다 후퇴했다고 네티즌들은 느낀다. 이것은 MB에게 치명적이다. 소통의 기본은 교감이요 공유다. 교감과 공유 없이 소통은 불가능하다. 자식들이 세대 차이를 느끼는 부모에게 이유없이 반항하는 것과 매한가지다. 옳고 그름의 문제가 아니다.

 인터넷과 게임을 모르는 요즘 부모들은 힘들다. 자식과 대화가 안된다. 곤혹스러울 때가 한 두 번이 아니다. 자식들은 정서가 다른 부모들과 대화 자체를 피하려 한다.

어느 전문가는 어려움을 호소하는 부모들에게 이렇게 말한다. “자녀와 함께 게임을 해 보세요. 인터넷도 같이 즐겨보세요. 그러면 말 문이 열릴 테니까요.”

촛불집회부터 이지원 사태에 이르기까지 MB는 인터넷과 갈수록 대립각을 세우고 있는 듯 하다. 물론 논리보다 주장이, 이성보다 감성이, 질서보다는 편의가 득세하는 인터넷 공간은 문제가 많다. 하지만 대립각만 세운다고 문제가 해결될지는 의문이다.

 규제 일변도의 인터넷 정책이나 실정법의 잣대만으로 이지원 사태를 처리하려는 자세에 젊은 세대들의 시선은 따갑기만 하다. 인터넷도 엄연히 규제받아야 할 대상이다. 노 전 대통령의 국가기록물 유출도 엄연히 실정법 위반이요 비난 받아야 마땅하다.

 하지만 정서는 그 반대로 흐른다. 왜 일까. 인터넷으로 공유되는 정서와 인터넷의 필요성에 대해 MB정부가 전혀 공감하지 못하는 듯한 자세 때문이다. 아직 우리는 오프라인 세계와 온라인 세계를 아우르는 제대로 된 질서를 만들어 내지못하고 있다. 노 전 대통령에게 국가문서기록원에 대한 온라인 접근권을 제공하는 해법처럼 절충점을 찾는 노력이 필요하다.

 일단은 함께 공유하고 느껴보는 게 더 나은 방법 일 수 있다. 대화가 통해야 설득도, 치유도 가능하다. 이론과 논리만으로는 안된다. 스스로 개방하고 공유하려 노력하는 게 우선이다.

 일단 익숙해지고 친해져라. 개방하고 참여하고 공유해 보라. 그런 연후에 이것은 잘못됐다, 저것은 잘못됐다 하면 된다. 요즘 젊은이들이 가장 싫어하는 것은 해보지도 않고 잘못됐다고 예단하는 기성세대들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