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D, OLED패널센터 신설…SMD독주 제동거나

LG디스플레이가 본격적인 능동형(AM)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사업을 위해 최고생산책임자(CPO) 산하에 `OLED패널센터`를 신설했다. 연내 양산을 앞두고 있는 4.5세대(730×920㎜) AM OLED 라인의 조기 양산 수율 제고를 위한 조치로 풀이된다.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SMD)가 석권하고 있는 AM OLED 시장에서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SMD)와 LG디스플레이의 본격적인 대결이 시작될 전망이다.

LG디스플레이는 이달 1일부로 CPO(김종식 부사장) 산하에 OLED패널센터를 신설했다고 4일 밝혔다. 센터장에는 LCD 생산을 총괄하는 패널센터장을 역임한 차수열 전무가 기용됐다.

LG디스플레이 측은 OLED패널센터 신설이 AM OLED 사업 본격화를 위해 생산성을 확보하고, 양산 수율을 최대한 앞당기기 위한 의도라고 설명했다.

이 회사는 현재 파주에 구축 중인 4.5세대 AM OLED 라인의 본격적인 양산을 앞두고 있다. 이 라인은 투입 기판 기준 월 4000장 규모로 3인치 패널 50만개를 생산할 수 있다. 특히 2500억원을 투입, 내년 하반기까지 생산 능력을 월 150만개 수준까지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LG디스플레이는 올해부터 스마트폰을 비롯한 모바일 AM OLED 시장을 본격 공략하고, 내년 하반기에는 30인치급 TV용 AM OLED를 출시해 대형 OLED 시장을 선점한다는 전략이다. LG디스플레이의 한 관계자는 “대형 AM OLED 조기 양산도 내부에서 신중히 검토중”이라며 “기술적인 검토도 함께 이루어지고 있다”고 밝혔다.

이번에 CPO 산하에 AM OLED 생산을 총괄하는 센터를 신설함으로써 양산을 위한 조직 개편 등 막바지 작업을 끝냈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특히 4.5세대 이후 5.5세대급 대면적 AM OLED 라인 구축 작업에도 탄력이 붙을 전망이다. 업계 관계자는 “LG디스플레이가 경쟁사에 비해 상대적으로 늦었던 AM OLED 시장 진입을 위해 조직 개편 등의 작업에 속도를 내고 있다”며 “차세대 대면적 AM OLED 라인 투자 여부도 조만간 확정될 예정”이라고 전했다.

LCD에 비해 더 얇고 풍부한 색감을 낼 수 있는 AM OLED는 최근 전 세계 IT기업들이 채택을 확대하고 있으나 SMD외에는 양산기업이 없어 극심한 공급부족사태를 빚고 있다.

한편 이번 OELD패널센터 신설로 CPO 산하 센터는 △패널 △생산기술 △모듈 △구매를 비롯해 5개 센터 체제로 재편됐다.

양종석기자 jsyang@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