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스크라인]G20에 그린경제 화두를 던져라

역사적인 G20 정상회의가 20여일 앞으로 다가왔다.

국운 상승과 글로벌 성장 어젠다 주도를 위해 우리가 갖고 있는 모든 역량을 다 쏟아부을 만한 값진 기회다.

국가의 존립이 과거 배타적 공간 점유로 결정됐던 것에서 이제 협력과 공존의 효율성에 의해 더 좌우되는 시대를 맞았다. 지구촌 동반자시대, G20은 그야말로 `지구촌의 어젠다 세팅 회의`인 셈이다.

그런데 벌써부터 논의의 초점이 금융과 환율 등 이른바 `화폐 이슈`로 흐르고 있다. 사실 우리나라는 최근 20여년간 산업으로 흥해 G20까지 도달한 것이지 환율이나 금융으로 자산을 축적하거나 국력을 키워온 나라가 아니다. 수출과 산업적 지위에서 지금 우리는 세계 10위권을 자랑하지만 아직도 국제 금융전선에선 변방에 불과하다.

물론 우리가 독자적으로 G20에서 공유될 의제를 흔들거나 뒤틀 것은 아니다. 지구촌의 최대 현안인 경제위기 돌파와 출구전략 모색을 위한 금융 전략 논의도 반드시 필요하다. 그러나 이런 정해진 룰에 의해 `개최하는 데 만족하는` 그런 행사로 끝내기에는 너무 아까운 기회다.

우리가 정말 잘할 수 있고, 선도적으로 해내고 있는 주제에 대해 공유와 동참을 이끌어낼 수 있는 절호의 찬스다. 그게 바로 `그린 경제`다.

우리나라는 국정 지표로 `저탄소 녹색성장(Green Growth)`을 삼고 있을 정도로 명실상부한 글로벌 녹색성장 모범 국가다. 정부 의지나 기업의 투자 의욕, 상호 비전 등 모든 면에서 G20을 선도할 지위에 있다.

이번 G20 정상회의 의장국으로서 반드시 이 같은 국가 차원의 녹색성장 노력과 추진 비전을 제대로 제시하고, 각국 정상이 우리와 동참할 수 있는 길을 보여줘야 한다.

신음하는 지구를 살리는 길은 각국이 얼마나 빨리, 효과적으로 그린경제 체제에 들어가는지에 달려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더구나 그린경제 체제 진입과 그린산업 활성화는 예전 산업혁명처럼 어느 한 국가가 선도한다고 전파되는 것이 아니라, 전체적인 동참과 공동 행보를 통해 완성된다. 전 세계 각국이 공조해야 그린산업도 살고, 지구도 살린다.

정부는 예전 교토나 코펜하겐처럼 기후협약과 관련된 완성된 합의안을 이끌어내지 못할 바엔 아예 얘기조차 꺼내지 않는 것이 좋다는 강박증을 가진 것 같다. 그러나 그래선 안 된다.

결정이나 합의 등 결과에 얽매이지 말고 세계 정상 국가들이 한자리에 모여 그린경제를 화두로 의견을 주고받은 것 자체가 중요하다. 각국의 신경전 때문에 미적거릴 사이 지구는 하루하루 병들고, 화석 자원은 고갈되어 간다.

G20 권역 내에선 전기차 등 그린제품에 관세를 부과하지 말며 특히 전지 등 그린산업 핵심 기자재에 쓰이는 희유광물에 대해선 무기화 또는 수출 제한 등을 할 수 없도록 하는 논의를 꺼내야 한다. 부담스럽더라도 의장국은 그 정도는 이야기는 꺼낼 수 있는 권한을 갖고 있다.

우리는 IT 강국으로 질주하면서 국민 실질 구매력이 3만달러에 달하는 부러움을 받는 나라로 일어섰다. 결국 세계 정상회의 꽃이라는 G20 회의를 수도 서울에서 열게 됐다. 자주 오지 않는 이런 기회에 우리는 `IT`와 함께 `그린 경제`의 화두를 전 세계에 던지고, 실천을 독려해야 한다.

2010년 대한민국 서울이 전 세계 그린경제 전환의 시점이자, 출발지가 되게 할 수 있다.

그린데일리 팀장 ·

이진호기자 jholee@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