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001년 9월 11일 아침 미국 민간 여객기가 테러리스트에 의해 납치돼 뉴욕의 상징물인 세계무역센터(WTC)로 돌진했다.
이른바 9·11 테러로 불리는 이 사고로 3000여명에 가까운 무고한 사람이 운명을 달리했다. 세계를 충격에 빠뜨린 9·11 테러가 발생한 지 만 10년이다. 미국은 9·11 이후 테러 예방에 3000조원 이상을 투입했고 22건의 테러 음모를 사전에 적발했다.
9·11 테러가 발발한 지 10년이 지났지만 미국인의 테러에 대한 공포는 여전하고 삶의 방식까지 바꿔 놓았다.
미국인은 물론 미국을 방문한 외국인은 공항에서 전신 투시기를 통과하거나 보안 요원의 손이 몸 구석구석을 더듬는 불쾌함도 감수해야 한다.
9·11 10주년을 맞은 뉴욕에 테러 경계령이 내려졌다는 뉴스가 잇따라 보도됐다. 미국이 테러 예방을 위해 엄청난 규모의 돈과 자유 침해라는 대가를 지불하고 있음에도 여전히 테러공포에서 자유롭지 않다는 방증이다.
미국과 비교하면 우리나라는 9·11 같은 테러에 관한 한 안전지대라 해도 무리가 아니다. 하지만 사이버공격에 의한 테러, 사이버테러에 관한 한 우리나라도 결코 예외가 아니다.
7·7 분산서비스거부(DDoS) 공격과 3·3 DDoS 공격을 비롯 농협 전산망 사고, 네이트·싸이월드 해킹으로 인한 정보유출 등 수 많은 사례가 방증한다.
비록 인명 피해는 없지만 사이버테러에 의한 사회적 손실을 추산하기란 쉽지 않을 정도로 막대하다. 개인정보 유출 이후 보이스 피싱과 스팸 메시지로 인한 2∼3차 피해도 불가피할 것으로 예상된다.
사이버 테러가 데이터 탈취 및 시스템 파괴를 위해 보다 위협적이고 정교하며 은밀한 양상으로 전개되고 있다는 점은 주지의 사실이다.
분명한 것은 사이버테러에 대한 국가적 차원의 종합 대책이 신속하게 마련되지 않으면 과거와 비교조차 안 되는 상상조차 할 수 없는 더 큰 재앙을 맞게 될 것이라는 점이다.
김원배기자 adolfkim@etnews.com
-
김원배 기자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