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대 국회의원 선거를 치른 지 100여일이 지났다. 국회 개원과 상임위원회 구성, 부처별 업무보고 등 국회는 바쁜 일정을 소화한다. 특히 오는 12월 19일 대통령 선거를 앞둔 국회와 정치권은 어느 때보다 분주하다.
이런 와중에 또 다른 분주함이 있는 곳이 있다. 바로 정부 산하기관이다. 기관장의 임기 만료를 앞둔 곳은 물론이고 다른 연유로 인해 기관장이 공석이거나 교체가 예상되는 곳은 여지없다.
누가 새로운 기관장으로 올 것인지도 큰 관심사다. 조직원은 누구든 조직을 잘 이끌어 줄 능력 있는 인물이 오기를 바라는 마음은 한결같다. 그런데 이들의 바람에서 이 사람만은 아니었으면 하는 부류의 사람이 존재한다.
바로 `낙선 정치인`이다. 19대 총선에 어떤 이유로 낙선했든지 이들 정치인은 나름 정치권에 네트워크를 가지고 있는 사람들이다. 이 때문에 정치권은 기관장 자리를 정권을 잡은 이들이 의리나 도리를 지키거나 자신이 그 처지에 놓였을 때에 대비한 품앗이 대상으로 여긴다. 선거 이후 유독 정부 산하기관장 인사와 낙하산 논란이 많은 이유다. 18대 대통령 선거 이후에도 역시 논공행상에 따른 대대적인 낙하산 논란이 이어질 것이다.
물론 모든 낙선 정치인이 기관의 기피 대상 1순위는 아니다. 오히려 기관의 업무와 독립성을 지켜줄 수 있는 힘 있는 정치인은 선호 대상이 되기도 한다. 게다가 전문성까지 갖췄다면 금상첨화다.
문제는 `염불보다 잿밥에 더 관심이 있거나 그냥 거쳐 가는 자리쯤으로 여기는 기관장`에 대한 우려다. 특히 정권 말에는 이런 우려가 현실이 될 가능성이 크다. 대선을 앞둔 시점에서 힘 있는 정치인이 그 터전을 떠날 리 없기 때문이다. 정부 산하기관이 어정쩡한 낙선 정치인을 더 많이 우려하는 이유다.
홍기범 전자산업부 차장 kbhong@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