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텔레콤의 3분기 영업이익이 마케팅비용과 롱텀에벌루션(LTE) 투자 증가 등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절반 가까이 줄었다. 하지만 가입자당월평균매출(ARPU) 상승세 등으로 4분기 이후 수익성 회복 가능성을 보여줬다.
SK텔레콤(대표 하성민)은 3분기 매출 4조1255억원, 영업이익 3007억원, 순이익 1756억원(연결 재무제표 기준)을 기록했다고 6일 밝혔다.
매출액은 LTE 가입자 확대로 인한 ARPU 증가와 자회사인 SK플래닛 사업 성장으로 전년 동기 대비 2.0% 증가, 전 분기 대비 2.9% 증가했다. 이동통신 ARPU는 3만3135원을 기록하며 2분기 연속 상승세를 이어갔다.
영업이익은 LTE 투자비 증가와 일시적인 마케팅비용 증가 등으로 전년 동기 대비 46.4%, 전 분기 대비 27.6% 감소한 3007억 원을 기록했다. 연결 순이익은 1756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54.2% 감소, 전 분기 대비 45.7% 증가했다.
EBITDA(법인세·이자·감가상각비 차감 전 영업이익)는 9599억 원을 기록해 전년 동기 대비 21.1%, 전 분기 대비 7.7% 감소했다.
LTE 전국망 등 네트워크 고도화를 위해 집행한 투자지출액은 7880억 원으로 전년 동기 5520억 원 대비 42.8% 증가했다.
SK텔레콤은 10월 말 LTE 가입자 600만명을 돌파해 세계 3위 LTE 사업자로 올라섰고, 연말 목표인 700만명을 순조롭게 달성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한편 SK플래닛은 T스토어, T맵 등 서비스 경쟁력을 통해 새로운 수익 창출 기반을 만들어 가고 있다. 11번가 역시 분기 거래액이 1조원을 돌파하고 모바일 11번가 거래액도 급증하고 있다.
안승윤 SK텔레콤 경영지원실장(CFO) “3분기에 성장세를 확인한 LTE 가입자, B2B, SK플래닛 사업 등의 선순환을 통해 ICT사업에서 탄탄한 사업 구조를 만들어 나가겠다”며 “이동통신에서도SK텔레콤의 강점인 뛰어난 네트워크품질, 상품력, 차별적 고객 서비스 등 본원적 경쟁력을 강화해 LTE 시장에서 성장성과 수익성을 확보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권건호기자 wingh1@etnews.com
-
권건호 기자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