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꾸로 가는 혁신, KT가 흔들린다]<중>혁신 4년 공(功)과 과(過)

지난 2009년 1월 취임한 이석채 KT 회장은 `혁신 전도사`를 자처했다. 외부인사 영입이 논란이 될 때도 `혁신`을 위해서라고 강조했다.

실제로 이 회장은 취임 직후 KT·KTF의 합병을 성사시키며 유·무선 융합 환경을 선도적으로 이끌었다. 또 스마트폰 불모지였던 우리나라에 아이폰을 도입해 스마트 혁명의 불씨를 지피는 프론티어 역할도 했다. 하지만 KT 혁신이 외화내빈에 그친다는 비판이 만만찮다. 혁신의 궁극적인 결과로 나타나야할 KT 실적은 몇 년째 횡보했다. 혁신 과정의 소통 부재로 내부 직원은 물론이고 외부 고객과도 불협화음이 일었다.

이석채 회장의 혁신 성과로 가장 먼저 꼽는 것은 아이폰 도입이다. 다른 통신사들이 국내 제조사들과의 관계로 인해 스마트폰 도입을 미룰 때 과감히 도입하는 결정을 내렸다. 아이폰은 국내에서 큰 인기를 얻었고, 국내 제조사들도 스마트폰 경쟁력 강화를 추진한 계기가 됐다. 단순히 KT의 성과를 높이는데 그친 것이 아니라 국내 스마트 혁명을 이끌었다는 평가다.

KT·KTF 합병도 혁신 활동으로 꼽힌다. 유·무선 융합 시대를 맞아 KT그룹이 대응체계를 갖출 수 있도록 강력히 밀어붙인 결과다. 줄어드는 통신 매출을 방어하기 위해 발 빠르게 비통신 분야로 눈을 돌려 성장동력을 찾으려 한 시도도 긍정적으로 평가된다. 성장 분야로 꼽은 위성, 부동산, 미디어를 따로 떼어내 집중 육성하겠다는 전략도 새로운 시도다.

이러한 혁신에도 불구하고 혁신의 궁극적인 결과로 나타나야할 경영지표 향상은 기대 이하였다는 평가다. 비통신 분야인 BC카드와 KT렌탈 등의 합병 영향으로 매출은 꾸준히 상승했지만 내실에는 물음표가 던져졌다. 외형은 성장했지만, 영업이익은 갈수록 줄었기 때문이다.

표면적으로 핵심 분야인 통신산업 경쟁 환경이 치열해진 이유가 컸다. 하지만 롱텀에벌루션(LTE) 시장에서 3위로 떨어졌고, 이동통신 가입자가 지속적으로 감소한것까지 외부 환경 탓으로 돌리기엔 설명이 부족하다는 지적이다.

탈통신 확대도 이익 측면에서 성과를 내지 못했다. KT는 지난 2008년 29개 계열사가 지난해 말 50개로 늘었지만, 신규 편입된 계열사 21개 중 15개는 당기 순이익 적자를 기록했다.

KT 실적은 합병전인 지난 2008년 매출 11조7848억원, 영업이익 1조1133억원을 기록했다. 합병 효과로 2009년엔 매출 19조6491억원으로 급증했지만, 영업이익은 9665억원으로 오히려 줄었다. 2010년에는 영업이익이 2조507억원으로 성장했지만, 2011년에는 다시 1조9737억원으로 감소했다. 증권가는 올해 KT 영업이익이 1조8000억원 수준이 될 것으로 예상한다.

그마나 2010년부터 부동산을 매각하고, 올해는 동케이블까지 매각한 일회성 이익이 반영돼 영업이익이 소폭 하락하는데 그쳤다. 매출 하락 방어용이라는 것이다. KT는 2010년 10개국사 매각으로 1350억원, 2011년 20개국사 매각으로 2980억원의 수익을 올렸다. 올해도 목동 전산정보센터와 국사 등을 매각했거나 또는 매각을 추진 중이다.

혁신 추진 과정에서의 소통 부재로 인한 불협화음도 터져나왔다. 혁신에는 부작용이 따르기 마련이지만, 내부의 불만이 우려스런 수준이다.

기존 임직원들은 혁신해야 할 대상으로, 외부 영입 인사들은 혁신 주체로 비춰지는 것이 가장 큰 이유다. 직원 임금은 수년째 동결 수준에 머무르다 올해 소폭 상승한 반면, 임원은 3년전부터 현금으로 주던 성과급을 자사주로 지급한 것도 불만이 생기는 이유다. 내부서 승진한 임원과 외부서 영입한 임원 간 연봉격차 소문도 무성하다. 무엇보다 정치적 연이 닿은 인사들의 고속 승진이 부각된 것이 기존 내부 직원들의 사기를 꺾었다.

KT 홍보실은 “이 회장 취임 후 혁신 활동 지속으로 KT 그룹 매출이 증가했다”면서 “영업이익이 줄었지만, 통신산업 경쟁상황에 따른 것으로 다른 경쟁사에 비해 선방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비통신 분야 강화는 통신매출 감소를 메꾸는 것이 아니라 통신과 시너지를 내기 위한 시도”라고 밝혔다.

권건호기자 wingh1@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