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자동차업계가 자동차용 전기전자장치부품(전장부품) 안전성과 관련한 국제 표준화 활동을 등한시하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기술 장벽으로 작용에 수출에 악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우려다.
자동차용 전장부품의 기능 안전성을 규정하는 국제표준 `ISO 26262` 적용 범위를 확대하기 위한 논의가 선진국을 중심으로 활발하다. 그러나 국내업체는 이런 표준 활동에 전혀 참여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제 표준화 기구인 ISO는 2015년까지 자동차 기능 안전 표준 ISO 26262의 `2차(2nd) 에디션` 협의를 진행 중이다. ISO 26262는 차량용 전장 시스템의 사실상 `필수 규격`으로 위상이 강화됐지만 국내 완성차와 전장 업체의 대비는 전무한 것. 해외 업체의 전장 부품 산업 주도권이 강화되고 국내 완성차와 전장 업체 수출 경쟁력이 취약해질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는 분석이다.
업계 관계자는 “승용차에 장착되는 전장 부품의 오작동으로 인한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ISO가 지난해 11월 자동차 기능 안전 표준(ISO 26262)을 제정한데 이어, 2015년까지 적용 범위를 트럭· 버스· 오토바이 등으로 확대할 예정”이라며 “ISO가 국내 완성차, 전장 부품 및 표준 관련 기관들에게 참여를 타진했지만, 아직 한 업체도 표준화 협의에 참여하지 않고 있다”고 전했다.
ISO 26262는 독일 완성차 업체인 BMW가 의장을 맡고 있으며, 일본 혼다·닛산, 미국 GM, 프랑스 르노 등 완성차와 독일 보쉬·콘티넨탈 등의 부품 업체들이 규격 제정을 주도하고 있다. 세계 자동차 산업을 주도하는 완성차와 부품업체가 전장 시스템의 표준 장벽으로 ISO 26262의 적용 범위를 확대하고 있다는 점에서 대비가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위재경 숭실대학교 교수(정보통신전자공학부)는 “ISO 26262가 자동차 사고를 최소화할 수 있는 능동적 안전 표준에서 차량 간 통신과 교통 인프라와의 정보 교환을 통해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능동적 고안전 표준으로 진화하고 있다”며 “이 같은 표준을 만족시키지 못할 경우, 완성차는 물론 전장 부품의 수출이 사실상 불가능하다는 점에서 대비가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실제 유럽연합과 일본은 ISO 26262에 대응하기 위해 국가적인 지원을 쏟아 붓고 있다. 특히 일본은 정부 주도로 가이드라인을 제정하고 소프트웨어 개발, 평가 및 검증 도구 개발 등 경쟁력 강화에 주력했다. 최근 3년간 40억엔(약 510억원)의 국가 지원을 쏟아부었다.
우리나라도 최근 ISO 26262 1차(1st) 에디션을 국가 표준(KS R ISO 26262)으로 제정했지만, 업체들의 관심은 저조한 상황이다. 양승배 기술표준원 연구관은 “국내 완성차는 물론 전장 부품 업체들이 ISO 26262에 대한 이해도와 준비가 미진한 상황”이라며 “전문 인력 양성과 국제 협력 강화 등을 통한 표준 역량 강화가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자료:업계)
양종석기자 jsyang@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