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 리스크에 통신사 새해 사업계획 확정도 감감

통신업계가 새 정부 출범에 따른 정책 방향 확인이 안 돼 사업계획 확정을 미루고 있다. 덩달아 장비업체 등 후방산업계도 사업 방향을 잡지 못하고 있다.

14일 통신업계에 따르면 SK텔레콤과 KT 등의 사업계획이 일러도 다음 달에나 확정될 것으로 예상된다. 연말이나 늦어도 1월에 사업계획을 정한 예년에 비해 한 달 이상 늦어졌다.

사업계획 확정을 미루는 핵심 원인은 새 정부 출범을 앞둔 정책 리스크로 분석된다. 사업계획이 정부 정책과 연동하는 모습을 보여야 하는데, 정보통신기술(ICT) 전담부처 설립 등 변수가 있기 때문이다. 가입비 폐지를 통한 통신요금 인하, 요금인가 심의과정 공개 검토 등 규제를 강화하려는 움직임도 변수다.

아직 인사와 조직개편을 실시하지 않은 것도 원인이다. 통상 인사와 조직개편을 실시한 후 사업계획을 확정하기 때문이다. 롱텀에벌루션(LTE) 시장의 급성장 등 시장 예측이 쉽지 않은 것도 이유다.

한 통신사업자 고위 임원은 “네트워크 투자계획 등 사업계획을 아직 확정하지 못했다”면서 “정부 정책과 시장 상황 등을 감안해 결정하는데, 특히 올해 정부 방향성을 면밀히 본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사업계획을 최종 확정하려면 정책 방향이 어느 정도 나올 2월이나 돼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다른 사업자 임원도 “사업계획 확정이 늦어지는 것은 여러 요인이 있지만, 투자와 규제 등에서 정부 방향성에 부응하는 모습을 보여야 하는 것도 하나”라며 “아직 유동적인 부분이 많아 인수위 논의를 지켜본다”고 말했다.

통신사 사업계획 수립이 늦어지자 협력 장비업체도 고민에 빠졌다. 통신사 계획에 따라 1년 농사가 결정되는데 아직 뚜렷한 방향성을 알지 못하기 때문이다. 당장 3월로 예정된 상반기 통신사 수요예보 설명회만 해도 ICT 전담부처 신설 여부에 따라 개최 여부와 일정 등이 영향을 받는다. 장비업체 한 관계자는 “협력업체는 통신사 투자계획과 구매계획이 빨리 정해질수록 사업이 예측 가능한데 올해는 늦어졌다”면서 “정부 조직 개편에 따라 수요예보제가 사라질 수 있다는 우려도 있다”고 말했다.

권건호·김시소기자 wingh1@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