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금융사기(피싱)을 방지하기 위해 수사기관과 금융기관 등 공공기관을 사칭한 전화가 차단된다.
차단한 전화의 전달 경로 등 사후추적도 본격화된다.
방송통신위원회는 30일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에 공공기관 사칭 전화를 차단하기 위한 `피싱대응센터`를 열었다.
피싱대응센터는 공공기관 사칭 전화 차단은 물론 차단된 전화가 어떤 통신사업자를 거쳐 왔는 지를 추적, 통신사업자와 보이스피싱에 이용된 가입자 회선도 추적할 예정이다.
이에 앞서 방통위는 지난 해 말부터 검찰과 경찰, 우체국, 은행, 보험 등 1135개 주요기관 57만여개 전화번호를 수집했다.
공공기관 전화번호 데이터베이스(DB)는 통신사업자에게 제공됐다.
LG유플러스, KT, SK브로드밴드 등 통신사업자는 전기통신망의 전화교환기나 SMS서버 등에서 공공기관 전화번호를 사칭하는 경우를 판별할 수 있도록 하는 등 150억원의 시설투자를 마쳤다.
이계철 방송통신위원장은 “보이스피싱을 차단하기 위해 과감한 시설투자를 한 통신사업자에게 감사하다”며 “서민의 통신 안전을 위협하는 전화 범죄를 차단하기 위해 관련 기관간 공조체제를 강화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김원배기자 adolfkim@etnews.com
-
김원배 기자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