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범 한달 박근혜정부…인사 문제로 '흔들'

출범 한달을 맞는 박근혜정부가 인사문제로 휘청거리고 있다. 중도낙마한 장차관급 이상 고위 공직자가 6명에 달하는 등 부실한 청와대 인사검증시스템에 대한 비판 목소리가 높다.

25일 한만수 공정거래위원장 후보자는 사퇴의 변을 통해 “저의 공정거래위원장직 수행의 적합성을 놓고 논란이 제기돼 국회 청문회 일정조차 잡히지 않은 채 장시간이 경과하고 있고 이로인해 정부의 순조로운 출범에 지장을 초래하고 있다”며 전격 사퇴했다.

한 후보자의 사퇴는 국외에서 수년간 수십억원에 이르는 거액의 비자금 계좌를 운용하며 탈세를 해왔다는 의혹이 결정적 영향을 미친 것으로 알려졌다. 청와대 민정라인도 지난주 이같은 사실을 파악하고 관련조사를 진행했으며 조사내용을 박대통령에게 보고한 것으로 전해졌다.

김용준 전 국무총리, 김종훈 전 미래창조과학부 장관, 황철주 전 중소기업청장 내정자, 김학의 전 법무부 차관, 김병관 전 국방부 장관 내정자에 이어 한 후보자의 사퇴로 박 대통령이 임명한 장차관급 이상 중도낙마자는 6명으로 늘었다.

한 후보자의 사퇴로 청와대의 부실 인사검증 시스템을 비판하는 목소리가 높아졌다.

박기춘 민주통합당 원내대표는 25일 열린 비대위원회의에서 “나홀로·불통 인사 스타일과 구멍난 인사시스템이 불러온 필연적 결과”라며 “청와대의 부실한 인사시스템으로 기본적 검증이 안된 부적격자들이 줄줄이 낙마했다. 박 대통령이 먼저 사과하고 민정라인을 교체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여당인 새누리당도 부실 인사 시스템 비판에 가세했다.

서병수 새누리당 사무총장은 이날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제도개선은 물론, 필요하다면 관계자들에 대한 적절한 조치도 있어야 한다”며 “공직 후보자도 스스로 결함이 많다고 생각하면 수용하지 말았어야 한다”고 말했다.

이상일 새누리당 대변인도 브리핑에서 “도대체 인사검증을 어떻게 했길래 자고나면 공직후보자가 사퇴하는 것이냐”며 “청와대는 반성해야 하고, 줄사퇴 현상이 왜 일어났는지 허술한 시스템을 시정해 강화하는 한편, 부실검증에 책임이 있는 관계자를 문책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권상희기자 shkwo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