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년과 2013년 인터넷 포털시장 점유 구도는 완전히 다르다.`
공정거래위원회는 이같은 판단 아래 NHN의 거래 장부며 계약 서류 등을 헤집고 있다.
법원에서 공정위가 패소했던 2008년엔 네이트, 야후, 엠파스, 파란 등 중소 포털들이 생존해 있었다. 그 상황에서 네이버는 시장장악력을 높이기 위해 검색과 연계시킨 중소상인 입점, 서비스 채널 등을 넓혀갔고 정상적인 경쟁 행위로 판정받았다.
하지만 지금은 야후가 철수했고, 파란도 문 닫았다. 엠파스와 합쳐진 네이트도 웹에선 기력을 잃고 시장 확대 보다는 모바일 전환 등 돌파구 마련에 더 집중한다.
네이버 지배력은 더 커졌고, 발목은 독과점 구조라는 뻘에 자꾸만 더 깊숙이 빠져들었다. 웹 체류시간은 줄어든 대신 모바일 사용 시간이 빠른 속도로 늘면서, 모바일에서의 지배력도 비슷한 연장의 파열음을 낼 것이란 우려가 나온다.
◇모바일 생태계 교란 현실화
최근 모 모바일게임 개발사는 곤란한 일을 겪었다. 카카오톡 게임에 등록한 게임의 매출과 성과를 일부 노출했다 카카오로부터 주의를 받았다. 카카오가 최근 카카오톡 게임 참여 개발사에 “신작 발표 계획이나 게임 매출, 사용자 추이 등 정보를 공개하지 말라”는 가이드라인을 내린데 따른 것이다.
이 회사 대표는 “투자를 유치하려면 실적을 언론에 보도해 시장의 신뢰를 얻어야 하는데, 길이 막혔다”며 우려했다.
카카오가 자체 모바일 광고 플랫폼을 제공하면서, 외부 광고 플랫폼에 미칠 영향도 주목된다.
모바일 플랫폼이 성장하고 참여 기업이 늘어나면서 플랫폼 운영 및 감독 기준도 까다로워지고 있다. 당연한 성장 과정의 일부지만, 참여 기업 입장에선 부담이 더 커진 셈이다. 이 과정에서 제대로 된 시장의 규칙을 만들지 못 하면 결국 시장이 활력을 잃고 개발사와 고객, 플랫폼이 모두 손해를 입게 된다.
과거 페이스북에서도 정책 변화에 따라 소셜 게임들의 실적과 순위가 요동치기도 했다. 플랫폼의 정책 변화가 비즈니스의 불안 요소가 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는 이유다.
◇저마다 “생태계 친화적”…공염불될 수도
김상헌 NHN 대표는 많은 논란 속에 새로운 뉴스 유통 플랫폼 `뉴스스탠드`를 내놓으면서 언론과의 공존공생을 유난히 강조했다. 그러나 뉴스시장은 얼어붙었고, 공생의 진의에 의문부호가 달렸다.
과거 인터넷 도입 등 온라인 환경의 급변 과정에서 만화나 음악, 영화, 뉴스 등 디지털 콘텐츠의 가치가 제대로 인정받지 못했듯, 지금의 모바일 대전환기에도 똑같은 현상이 되풀이될 것이란 우려가 씻기지 않고 있다.
콘텐츠 창작자에게 유통의 판을 벌려주고, 수익을 배분해주겠다는 정책이 쏟아져 나오지만, 정작 그들에게 돌아가는 이익이나 혜택의 총합은 플랫폼 사업자들이 트래픽 집중으로 거둬들이는 수익의 수천분의 1, 수백분의 1에 불과하다는 불만의 목소리가 터져 나온다.
콘텐츠 생산자와 중소업체들이 수익 나누기를 통한 `공정한 게임의 룰`에 벌써 지쳐가고 있다는 비관론이 나오는 이유다.
◇“모바일환경 지배자·추격자 따로 없어”
한쪽은 시장 지배자로, 한쪽은 추격자 또는 수용자로 영원히 구분되지 않는다는 반론도 나온다.
실제 절대적 힘을 가진 듯한 카카오나 NHN은 역으로 OS나 앱 마켓을 가진 상위 플랫폼 기업에 을의 설움을 겪는다. 카카오는 애플 정책 문제로 아직 iOS용 카카오페이지 앱에는 구매 기능을 넣지 못했다. NHN은 유료 아이템 양도를 금지하는 애플 정책에 따라 최근 `라인`에서 친구에 스티커 선물하기 기능을 뺐다.
모바일에서도 검색 전환 비용이나, 노력이 거의 없는 점을 들어 지금의 구도가 영원 하다는 단정도 어렵다는 분석도 있다. 불과 2~3년 사이에 유선 웹에서 모바일 중심으로 바뀌는 동안 우리가 예측하지 못했던 변화처럼 앞으로 2~3년뒤 세계 모바일 패권이 누구에게로 돌아갈지 단정하기 어렵다는 논리다.
우리나라 모바일 OS 주도권이 애플로 넘어가길 원치 않았듯, 모바일 플랫폼 주도권도 우리가 지켜야한다는 `모바일 플랫폼 주권`의 가치도 반드시 고려돼야할 요소다.
한세희기자 hah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