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 ICT, 의료 등 주요 산업의 융합정책 방향을 논의하고 조율하는 범정부 차원의 `융합정책네트워크`가 출범한다. 부처 간 칸막이를 없애고 융합정책의 시너지를 확보하기 위한 시도로 차세대 스마트카 등 주력산업의 핵심 성장동력 발굴을 뒷받침할 것으로 기대된다.
강성주 미래창조과학부 융합정책관은 25일 서울팔래스호텔에서 열린 `창조경제포럼` 조찬간담회에서 “미래부와 산업부는 물론이고 국토부, 복지부, 국방부 등 각 부처의 융합 관련 정책 담당자들이 참여하는 융합정책네트워크가 조만간 출범할 것”이라며 “개방된 포럼의 형태로 OECD 등 선진국의 사례를 참고해 자동차 등 우리나라 주력산업의 융합을 활성화할 수 있는 정책을 논의하고 조율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 같은 시도는 자동차를 비롯한 주력산업의 창조경제 구현이 과제로 부상한 가운데 정부 차원에서 사전조율을 통해 융합 정책의 시너지를 극대화하기 위한 것으로 풀이된다.
강성주 정책관은 “다양한 분야와 산업의 융합을 촉진할 수 있는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며 “각 부처와 산학연 간에 밀접한 협업으로 (업계에 필요한) 지원을 점진적으로 확대해 나가겠다”고 덧붙였다.
이날 간담회에서는 `창조경제 시대 자동차산업 발전전략`을 주제로 자동차와 ICT를 중심으로 한 다양한 융합 과제가 제시됐다.
특히 각종 부품을 완성차에 접목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자동차산업의 특성상 전자 및 ICT 업체들의 참여를 확대할 수 있는 연구개발 지원 정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하지만 운전자 안전에 직결되는 핵심 분야보다는 편의성을 향상할 수 있는 기술을 중심으로 양 산업 간 융합을 점진적으로 확대해 나갈 필요가 있다는 분석이다.
권은희 의원(새누리당)은 “자동차산업의 융합 지원정책에서 ICT와 중소기업 지원 비중을 늘려야 한다”며 “정책의 초점을 광범위한 대·중소기업 생태계가 어떻게 상생할 수 있을 것인지에 맞춰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포럼 참석자들은 산업별로 산발적으로 이뤄지던 자동차 및 ICT 융합 논의를 한자리에서 고민할 수 있는 자리가 됐다고 평가했다.
양종석기자 jsyang@etnews.com
-
양종석 기자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