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약 산업 육성 5개년 계획 , 신약 20개 개발 위해 5년간 10조원 투자

정부가 바이오시밀러·줄기세포 치료제 등 유망 분야 신약 개발 연구개발(R&D)을 집중하기로 했다. 신약 20개를 목표로 민관합동으로 5년간 10조원을 투자할 계획이다. 제약분야 공공펀드·정책 금융 투자를 확대하기 위해 2017년까지 5000억원 규모 `글로벌제약산업 육성 펀드`도 조성한다.

보건복지부는 제약산업 육성·지원위원회 심의를 거쳐 국내 제약산업 발전을 위한 중장기 종합계획 `새정부 미래창조 실현을 위한 제약산업 육성·지원 5개년 계획`을 마련했다고 21일 밝혔다. 종합계획은 지난해 정부가 발표한 2020년까지 세계 7대 제약강국으로 도약한다는 `Pharma 2020` 비전 달성 1단계 계획이다. 새정부 국정과제에 포함된 2017년까지 세계 10대 제약강국 도약을 위한 5개년 정책 방향과 추진 전략을 담았다.

5개년 계획은 △ R&D 확대를 통한 개방형 혁신 △제약·금융의 결합 △우수전문인력 양성 △전략적 수출 지원 △선진화된 인프라 구축 등을 핵심과제로 내세웠다. 제약 R&D 규모를 현재보다 2배 이상 확대하고 외국 유망기술과 후보물질을 들여와 신약개발에 활용하는 글로벌 연계개발(C&D)을 촉진한다. 산·학·연 유기적 지원체계를 구축해 한국형 R&D 성공모델을 창출한다. 복지부는 “5년간 신약 개발 20개를 목표로 민·관이 합동으로 총 10조원 규모 R&D 투자가 이뤄질 것”이라고 밝혔다.

정부는 국내 신약개발에 도전적·모험적 투자가 이뤄지고 글로벌 진출이 가능하도록 제약기업 대형화와 전략적으로 제휴할 수 있는 투자·금융 환경을 조성한다. 올해 1000억원으로 시작하는 글로벌제약산업 육성펀드는 5년간 5000억원 조성을 목표로 뒀다.

제약 산업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단기적으로 해외 우수 인재를 유치한다. 장기적으로 대학 정규과정 개편·특성화 대학원 등 인프라를 구축해 의과학자 등 핵심 인재를 양성한다.

복지부는 “우리나라 인재가 보건의료분야에 집중되고 있는 만큼 제약산업이 IT를 이을 차세대 성장산업이 될 것”이라며 “종합계획 수립으로 2020년까지 세계 7대 제약 강국으로 도약하는 마중물이 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권동준기자 djkwo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