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CT로 고령화 극복 ···미래부, 디지털 에이징 심포지엄

디지털 기술을 활용해 노인의 사회참여와 일자리를 늘리고 복지를 증진하는 등 고령화 문제에 대응하는 `디지털 에이징` 논의가 본격화됐다.

미래창조과학부가 한국정보화진흥원과 29일 `창조경제 실현과 고령화문제 극복을 위한 디지털 에이징 심포지엄`을 개최했다.

창조경제와 장노년층의 행복한 만남`을 주제로, 디지털 에이징에 대한 사회적 관심을 제고하기 위해 처음으로 열린 심포지엄에서 미래부는 각계 전문가와 고령층 일자리 창출과 사회참여 증진을 위한 전략과 방안을 모색했다.

이날 정태명 성균관대 교수는 기조강연에서 “정보통신기술을 활용, 고령층 일자리를 창출하고 이들이 경제활동인구가 되어 사회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는 게 `창조경제시대의 새로운 노인복지 패러다임`”이라고 역설했다. 이어 디지털 에이징 추진현황과 향후 과제와 창조경제형 시니어 IT 일자리 창출 방안도 발표됐다.

이와 함께 은퇴자의 재능나눔과 사회공헌 일자리 프로그램, 온라인 쇼핑몰 운영 사례, IT에 기반한 자원봉사 활동 등 사례도 소개됐다.

박재문 미래창조과학부 정보화전략국장은 “고령층의 지혜와 경륜에 ICT를 접목, 새로운 부가가치와 일자리를 만들어 내는 것이야말로 창조경제를 실현하는 유력한 방안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김원배기자 adolfkim@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