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분석]대안/공공기관을 국산 ICT 장비 텃밭으로

위기의 ICT장비 산업 해법

미래창조과학부에 따르면 올해 우리나라 공공기관(144개)의 외산 ICT 장비 도입률은 77%에 달한다. 그나마 최근에 개선된 결과다.

공공기관이 ICT 장비 산업 육성의 텃밭이 되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이들 기관이 구입하는 전송, 교환 장비는 일부 핵심 장비를 제외하고 대부분 국산 적용이 가능하다.

[이슈분석]대안/공공기관을 국산 ICT 장비 텃밭으로

2012년 기준 국내 공공시장 ICT 시장 규모는 연 8000억원 수준으로 추산된다. 국산 ICT 장비산업이 명분과 실리를 모두 챙길 수 있는 규모다.

공공기관에서 국산 장비 진입이 어려운 이유는 일선 담당자들의 인식이 낮은 것이 첫 번째다. 여기에 시스템통합(SI)·네트워크통합(NI), 통신사 등 사업 전면에 선 기업들이 경쟁구도에 따라 글로벌 기업 장비를 제안하는 일이 잦으면 자연스럽게 외산 우세 구도가 고착화 됐다. 공공기관에 주력하는 통신장비 업체 한 사장은 “공공부문 정보제안요청서에서 특정 외국 벤더를 위해 소스코드 제출이 필요한 CC인증(공통평가기준) 조건을 삭제하는 등 불합리한 면이 여전하다”며 “이 같은 풍토를 개선하는 것이 첫 번째 과제”라고 말했다.

국산 공급사 노력이 경주될 필요도 제기된다. 최근 국산 통신보안 장비를 도입한 한 기관은 네트워크 속도가 심하게 저하되는 현상을 겪었다. 보안 기능이 켜진 국산 통신장비가 작동하며 전체 망 속도를 저하시켰기 때문이다.

글로벌 통신장비 업체 한 관계자는 “국산 장비의 취약점은 강조하는 특정 기능에 치우쳐 전체적으로 타장비와 연동 등 밸런스를 갖추지 못했다는 것”이라며 “공공기관이 무조건 외산 장비를 선호한다는 비판 전에 신뢰도를 높여야 주장에 설득력이 실릴 것”이라고 지적했다.

정부는 내년부터 공공기관을 대상으로 △제안요청서(RFP) 사전심의 △ICT 장비 수요예보 등을 실시한다는 방침이다.

2월 14일 발효되는 ICT진흥특별법을 근거로 공공기관 ICT 장비 도입 과정을 전 구간에 걸쳐 재점검할 계획이다.

구교광 한국네트워크산업협회(KANI) 전무는 “내년에는 공공기관 지방이전, 묵혔던 망 고도화 사업 등으로 공공시장 규모가 더욱 커질 것”이라며 “도입 과정부터 불합리한 요소가 없는지 확인하고 공공기관 ICT 사업을 국내 업체들의 체력을 기를 수 있는 토대로 활용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시소기자 siso@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