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분석]ICT장비 활성화 민간에서는 구매조건부 R&D로 수출 사다리 놓아야

위기의 ICT장비 산업 해법

LG유플러스와 유비쿼스는 올해 통신사용 테라급 스위치 공동개발을 시작했다. 2014년까지 약 100억원을 투자한다.

KT는 2012년 말 엠티아이와 펨토셀에 다중입출력안테나(MIMO) 기술을 적용해 실내 중계기 투자비를 절감하는 수의계약을 추진했다. 엠티아이는 2년 납품을 보장받았다.

[이슈분석]ICT장비 활성화 민간에서는 구매조건부 R&D로 수출 사다리 놓아야

위 사례는 일명 `구매조건부 개발`에 해당한다. 수요처인 통신사가 구매를 약속한 상태에서 공급사에 필요한 장비를 맞춤 주문하는 형태다.

통신사는 저렴한 가격에 원하는 장비를 구할 수 있고 장비 회사는 안정적인 매출과 함께 통신사 구축 사례를 확보하는 일석이조가 가능하다.

민간 영역을 통한 ICT 장비 발전전략 중 실효성이 큰 방안으로 첫 손에 꼽히는 것이 바로 구매조건부 개발이다. 정부가 2011년부터 유도한 통신사 ICT장비 수요예보제와 마찬가지로 중소업체의 사업 가시성을 밝혀준다.

국내 주요 유무선 ICT 장비회사의 매출은 최대 3000억원을 넘지 못한다. 연간 수백억원대 매출을 기록하는 장비회사가 불투명한 사업을 보고 수십억원씩 R&D 자금을 투자하기에 어렵다.

교환 장비 회사 한 사장은 “교환, 전송 등이 IP로 융합되는 흐름이라 자체적으로도 패러다임 전환에 준하는 대형 R&D의 필요성을 절감한다”면서도 “한 번에 대규모 자금을 투입하기에는 경영 부담이 커 지켜보는 상황”이라고 어려움을 토했다.

상황이 이렇다보니 국내 중소기업이 해외 업체와 공동 협업하는 방안도 종종 추진되지만 불발에 그치는 경우가 많다.

교환 장비에서 상당한 노하우를 보유한 A사는 최근 중국업체와 제휴해 IP 장비인 PTN(Packet Transport Network) 개발을 시도했지만 라이센스 등 여러 문제로 이를 철회한 것으로 알려졌다.

미래부는 최근 발족한 네트워크산업 상생발전 협의회를 통해 통신사와 중소기업 그리고 SI/NI 업계가 협력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기로 했다. 내수를 바탕으로 수출까지 지원한다는 계획이다.

교환장비 업체 한 임원은 “국내 장비 업체들은 통신사 외에 기업, 해외시장으로 매출을 다변화해야 격변기를 버틸 수 있다”며 “국내에서 구매조건부 등으로 안정적인 매출과 레퍼런스를 확보하고 정부 지원 하에 개발도상국 등으로 수출을 확대하는 방안을 추진해야 하는 시점”이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통신장비 시장은 이미 절대 강자가 있는 만큼 싸고 품질이 좋다는 이유만으로 팔리지 않는다”며 “해외시장별로 맞춤화된 수출정보와 외교적 지원이 병행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시소기자 siso@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