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이 6일 첫 기자회견에서 밝힌 새해 국정 운영 최우선 과제는 경제 혁신과 활성화다. 정치·외교·사회 현안을 제쳐두고 가장 먼저 언급했다. 17분의 모두발언 중 무려 13분을 할애했다. 3년간 확 뜯어고쳐 경제 체질을 바꿔놓겠다고 밝혔다. 체감경기마저 얼어붙으면서 경제에 대한 국민 불안감이 고조된 시점에서 박 대통령의 경제 혁신과 활성화 의지 표명은 적절했다.
박 대통령은 그 추진전략으로 비정상적 관행 정상화, 창조경제를 통한 혁신경제 구현, 내수 활성화 세 가지를 꼽았다. 비정상적 관행으로 꼽은 공기업 방만 경영에 정부 책임도 있음을 인정했다. 공기업 개혁을 넘어 정부 혁신까지 이어지기를 기대한다.
과학기술과 정보통신기술(ICT) 기반 창조경제를 민간 주도로 가겠다는 것도 바람직하다. 에너지는 물론이고 문화와 농업까지 기존 산업 융합을 촉진하겠다는 것은 창조경제가 출범 첫해보다 더 피부에 와 닿을 수 있음을 예고했다.
내수 활성화 전략으로 보건·의료, 교육, 소프트웨어 등 5대 유망 서비스산업 육성과 아울러 투자 관련 규제 혁파와 중소·중견 기업 경쟁력 제고를 제시한 것을 높게 평가할 만하다. 중소·중견 기업 육성은 일자리 창출 효과가 큰 데다 경제 체질 개선의 핵심이기 때문이다. 또 규제개혁장관회의를 대통령이 직접 주재하면 과감한 규제 완화를 기대할 수 있다.
기자회견으로 대통령의 경제 혁신과 활성화 의지를 확인했지만 그 실현 가능성을 점치려면 3개년 계획이 나와 봐야 한다. 이 계획도 정부보다 민간 주도로 만들어질 때 성공 가능성이 더 높다는 점을 잊지 말아야 할 것이다.
박근혜정부를 향한 부정적 평가는 대부분 불통 이미지에서 비롯한다. 박 대통령은 기자회견을 자청해 소통 의지를 보였다. `국민의 눈`이라는 단서를 달았지만 여러 차례 부족함을 인정함으로써 진일보했다. 하지만 반대 세력들은 여전히 부족하다고 여긴다. 불통 이미지가 정국을 꼬이게 않게 하고, 긍정적 평가까지 절하되지 않도록 더 적극적인 소통 의지를 보여야 한다. 정치·사회 개혁뿐만 아니라 경제 혁신의 성패도 여기에 달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