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수보다 기술이전·사업화에 평가 비중 더 둔다"... 정부, 공과대학 혁신체계 마련

정부가 공과대학의 연구 성과물을 산업계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논문 수 등 양적 평가 기준에서 탈피해 기술 이전·사업화 등 질적 평가 기준에 따라 재정 지원을 강화한다.

이는 기초연구·인력양성·성과활용 공대의 세 가지 역할을 균형 있게 강조하려는 것으로 그동안 주목받지 못했던 산학협력, 사업화 연계 등에 비중을 두겠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13일 미래창조과학부는 산업계·학계·연구계 대표와 미래부·교육부·산업부 실장급으로 `공과대학 혁신 위원회`를 구성해 공과대학 연구 성과물을 산업계에서 활용할 수 있는 혁신 체계를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공과대학은 그동안 필요한 기술과 인력을 제대로 배출하고 있는지에 수없이 많은 의문이 제기돼 왔다.

미래부가 지목한 공과대학 해결 과제는 △공대 교수가 SCI 논문 등 이론 위주 연구에만 치중해 산업계 신뢰와 산학협동 활동이 저조했고 △공대 수업에서 전공필수 비중이 낮으며 학생 교육이 이론 위주로 흘러 흥미가 저하됐고 △산업계는 통합적 사고와 융합지식, 현장 적응능력 등의 부족을 이유로 공과대학 배출인력에 불만을 제기한 상황이며 △대학이 보유한 기술과 창의력이 창업, 기업 이전으로 이어지지 못해 R&D 투자 대비 기술사업화 실적이 부진한 것 등에 대한 대책이다.

이와 관련, 미래부는 “재정지원이나 평가가 논문 수 등 양적 지표에 집중돼 있는 시스템 문제로 볼 수 있다”며 “위원회는 산업계와 사회에서 제기된 문제를 집중 검토·개선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공과대학의 현실을 가장 잘 아는 민간 전문가들이 논의를 이끌어 가도록 하고자 위원장은 이준식 서울대 연구부총장이 담당한다. 총 20명 규모로 기업 대표·공학교육 관련 대표 단체·대학 산학협력단장 등이 민간위원으로 참여하고 미래부·교육부·산업부가 정부위원으로 참여한다.

장석영 미래부 미래인재정책국장은 “기초연구·인력양성·성과활용 세 가지 공과대학의 역할을 균형 있게 강조하고자 마련됐다”며 “지금까지 주목받지 못했던 산학협력, 사업화 연계 등에 초점을 맞출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정부 재정지원을 받을 때 평가 기준을 연구·산학협력·사업화 실적 등 다양하게 평가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미래부는 3월까지 혁신 계획 초안을 마련하고 올해 안에 추진 성과물을 내놓겠다는 방침을 세웠다.

미래부 관계자는 “평가 기준을 바꾸면 교수 임용과 평가 등 전반적인 시스템에 변화가 있어 일부 반발도 예상된다”면서도 “교육부에서도 적극적인 관심을 보이는 만큼 부처 간 협업으로 공과대학이 창조경제 전진기지가 될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

권동준기자 djkwo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