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의 전기동력차(전기차 및 플러그인하이브리드) 연구개발 자금 투자가 유럽연합(EU)의 3.5% 수준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EU가 회원국 간 협력과 민·관 파트너십을 통해 차세대 친환경차 기술 확보에 ‘올인’하고 있는 가운데, 국내 완성차 및 부품업계의 경쟁력 약화가 우려된다는 지적이다.
2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2007년부터 2015년까지 유럽연합의 전기동력차 연구개발 자금 투자 총액은 18억7000만유로(약 2조7400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EU는 권역내 단일 전기차 시장을 창출하기 위해 완성차를 비롯한 이해 관계자들과 민관 협력을 통해 전기동력차 성능 향상과 비용 절감에 적극 나서고 있다.
이에 반해 우리나라의 전기동력차 연구개발 투자는 2007년부터 올해까지 963억원에 불과했다. 이는 산업통상자원부가 지원하는 산업원천기술개발사업 중 전기동력차 및 관련 부품 국산화에 지원된 자금을 모두 합한 것이다. 내년 투자 금액은 포함되지 않았지만, EU에 비해 턱없이 부족한 수준이다. 전기동력차 활성화를 위해 주행 거리 연장 등의 핵심 기술 개발이 지속적으로 이뤄져야 한다는 점에서 기술 경쟁력이 상대적으로 뒤쳐진다는 지적이 나오는 배경이다.
EU는 전기동력차 연구개발에 14억유로, 전기동력차 보급을 위한 실증연구에 4억7000만유로 예산을 편성했다. 특히 2008년 발표된 유럽경제회복계획(EERP)의 일환인 ‘유럽 그린카 대책’이 대표적인 연구개발 프로젝트다. 이를 통해 에너지 저장, 모터, 제어, 차체 및 충전 등의 기술 확보에 주력하고 있다. 연구개발 재원 확보는 민관 공동 프로젝트 방식이 주를 이룬다.
단일 국가로는 독일이 연구개발 투자의 32.8%를 점유해 EU 공동 프로젝트(31.4%)보다 많았다. 이는 폴크스바겐, BMW 등이 전기차와 플러그인하이브리드 신모델 출시를 확대하고 있는 추세와 맞닿아 있다는 분석이다.
김강호 한국산업기술진흥원 책임은 “EU가 전기동력차 핵심 기술 확보 및 민간 보급을 위한 실증 연구에 뭉칫돈을 투자하고 있다”며 “우리나라도 민간 전기차 보급을 본격화하고 차세대 친환경차 기술 확보를 위해 지속적인 연구개발 투자와 다양한 실증 연구에 나서야 할 시점”이라고 지적했다.
양종석기자 jsyang@etnews.com
-
양종석 기자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