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도 해상에서 침몰한 여객선 ‘세월호’의 선사 청해진해운에 상당수 은행이 시중보다 낮은 금리로 돈을 대출해준 것으로 드러났다. 수백억원의 시설자금을 빌려주거나 우량기업에만 적용되는 4%대 금리를 적용해준 은행도 있다.
이들 금융사는 적법한 절차에 의해 시설 및 운영 자금을 빌려준 것이라고 주장하지만, 300%가 넘는 청해진해운의 부채비율을 고려하면 석연치 않은 점이 많다. 당시 면밀한 실사만 했더라도 이번 참사를 사전에 막는 ‘안전장치’가 됐을 것이라는 주장도 나왔다.
21일 금융권에 따르면 청해진해운은 산업은행으로부터 선박 구입과 개보수 자금 100억원을 대출받았다. 약 70억원 운영자금은 저리 조달이 가능한 엔화대출자금으로 3%대로 융통했다.
청해진해운은 지난 2012년 세월호를 수입하면서 산업은행으로부터 총 여신기간 7년에 2년 거치, 5년 원금 균등상환 조건으로 시설자금을 빌렸다. 내년 1월부터 원금상환이 시작되는데, 현재의 재무상태로는 감당하기 힘들 것으로 보인다. 분기마다 5억원씩, 1년에 20억원을 갚아야하고 여기에 이자도 매월 내야한다.
이를 두고 특혜 논란이 커지고 있다. 산업은행이 100억원에 가까운 시설자금을 지원했지만 당시 청해진해운은 부채 131억원에 달하는 부실기업으로 부채비율만 300%에 달했다.
산업은행 관계자는 “선박 공사 진척도에 따른 공정을 산출해 시공된 부분만큼 소요자금을 협력사에 지급했다”며 “실사를 진행했다는 증빙서류도 모두 갖고 있는 만큼 부실 대출은 아니다”라고 밝혔다.
신한은행과 하나은행, 국민은행도 시설자금과 운영자금 명목으로 많게는 수십억원의 자금을 대출해줬다. 담보 외에 신용 대출도 일부 포함된 것으로 알려져, 기업 실태를 제대로 파악하지 못했다는 비판이 일고 있다. 하나은행은 10억원의 운영자금을, 신한은행은 8억원의 시설자금 등을 5%대 금리로 각각 빌려줬다.
장기차입금 중 상당부분이 2018년 이후에 집중된 것도 의문이다. 장기상환금 약 112억원 중 40억원이 2018년 이후로 잡혀 있다. 산업은행과 일부 은행이 상환능력과 부실징후를 파악하지 못하고 대출을 해준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다.
한편 산업은행의 선박금융실적은 2010년 9100억원, 2011년 7100억원, 2012년 1조1700억원, 2013년 1조4172억원에 달한다.
길재식기자 osolgil@etnews.com
-
길재식 기자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