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새 경제팀, 실종된 창조경제를 찾으라

박근혜정부 제2기 내각이 진용을 드러냈다. 최경환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내정자를 비롯해 각료 일곱명이 바뀐다. 청문회 통과가 남았지만 박 대통령 의지를 읽기엔 충분하다.

박 대통령은 청와대 수석진에 이어 내각에도 친박계인 실세 정치인을 중용했다. 1기 내각에 관료 출신을 선호했던 것과 확 달라진 부분이다. 세월호 참사 이후 높아진 공직사회 개혁 요구와 무관하지 않다.

정치인 출신 장관은 관료 출신보다 전문성이 떨어질 수 있어도 영향력과 추진력이 강한 편이다. 최 부총리 내정자 임무는 무엇보다 세월호 참사로 위축된 내수 침체를 극복할 실물경제 회복과 그간 중단된 경제혁신3개년 계획 재가동이다. 따로 노는 산업과 금융 정책을 융합한 새로운 접근법으로 경제 회복과 혁신을 제 자리에 올려놓기를 기대한다.

어느 순간 정부부처 보고서에 사라진 단어가 있다. 창조경제다. 지난해까지만 해도 지겨울 정도로 언급하다가 요즘 쏙 들어갔다. 정책을 접었다면 모르겠지만 아니라면 앞으로 어떻게 하겠다는 것인지 분명히 밝혀야 한다. 최양희 미래창조과학부 장관 내정자 행보가 중요하다. 기획재정부가 있어 어정쩡하지만 국민과 산업계는 미래부를 창조경제 컨트롤타워로 본다. 다행히 최 경제부총리 내정자가 지식경제부(현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을 역임하면서 산업계에 대한 이해가 높다. 미래부는 기재부와 정책 방향을 공유하고 역할을 분담해 창조경제 정책을 제 궤도에 올려놓아야 한다.

세월호 참사 이후 나온 첫 내각이다. 참사 이후 확 달라진 모습을 보이지 않으면 국민 외면을 받는다. 정책 추진력도 사라진다. 국가 개조와 경제혁신이라는 박 대통령 국정 방향까지 뿌리째 흔들린다. 납세자들은 말로만 하는 국정과제 추진이 아니라 조금 미약할지라도 실행하고 성과를 보이는 장관을 원한다. 무엇보다 국민과 소통하는 내각이 돼야 한다. 이주영 해수부 장관은 비록 세월호 참사로부터 자유롭지 않았지만 최선을 다하는 모습을 보이며 유임됐다. 말이 아닌 소통 의지가 중요하다는 얘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