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의 해양로봇산업이 흔들리고 있다.
10년 전 로봇산업 기본계획에 따라 로봇 강국을 모토로 육성 정책이 추진됐고, 그 일환으로 부산은 해양로봇을 특화해 육성해왔다.
하지만 광주 가전로봇, 대전 국방로봇 등 타 지역의 특화로봇산업과 달리 제대로 자리를 잡지 못하고 있는 모습이다.
4대 강에 투입해 수질 감시용으로 사용하겠다던 물고기로봇은 상용화 가능성에 의문이 제기되며 여론의 도마에 올랐다. 기술이전과 상용화를 추진했던 해당 연구기관과 기업은 손을 놓고 있는 실정이다.
조선용, 상하수관 모니터링용 등 로봇개발 과제는 완료 시점만 요란했을 뿐 눈에 띄는 상용화와 시장 형성은 요원한 상태다.
부산로봇산업협회 등 지역 로봇업계 내부에는 자성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크고 작은 해양로봇 지원·육성 사업을 수행했지만 정작 중요한 상용화나 시장 형성으로까지는 연결하지 못했다는 점이다.
A업체 사장은 “2년여에 걸쳐 과제를 수행해 조선용 로봇을 만들었지만 판로 확보해 실패했다. 이를 사용할 수요 업종의 상황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한 결과”라고 토로했다.
또 B사장은 “기존 기계, 첨단 부품 및 산업 자동화 업체들이 정부 지원과 새로운 시장 형성에 대한 기대 속에 대거 로봇 개발에 뛰어들었지만 실제 매출 확대로 이어진 사례는 소수에 불과하다”며 “정부와 지자체는 물론이고 업계가 나서서 실수요를 먼저 파악하고 접근해야 했다”고 지적했다.
부산의 특화로봇산업이 퇴색한 것은 결국 공급자 중심의 개발 때문이다. 지역 특성상 해양관련 로봇이라면 어느 정도 수요는 있을 것이라는 막연한 접근도 한몫했다.
모든 로봇이 그렇듯 해양로봇 또한 다양한 분야의 첨단 기술이 융·복합된 제품이라는 점에서 특정 업종을 넘어선 산업적 기술적 연계협력이 부족했다는 지적도 나왔다.
부산시와 지역 로봇진흥기관은 지금이라도 해양로봇이 적용 가능한 곳을 대상으로 수요 조사를 추진하고 상용화 가능성부터 면밀히 파악해야 한다. 소규모라도 시장을 형성할 수 있는 상용화 로봇 개발과 적용이 지역 특화로봇 활성화의 열쇠다.
부산=임동식기자 dslim@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