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카 분야에서 우리나라의 기술 경쟁력은 선진국에 비해 아직 뒤처진다는 것이 대체적인 분석이다. 지난해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의 산업기술수준조사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스마트카 기술 수준은 83.8%로 유럽(100%)에 비해 1.4년의 기술 격차를 나타냈다. 이에 반해 미국과 일본의 기술 수준은 모두 97.6%로 유럽과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판매량 기준으로는 세계 5위인 현대·기아차가 1~4위 업체인 도요타, 폴크스바겐, GM, 르노-닛산과의 미래 기술 격차가 1년 6개월 가까이 나는 셈이다. 이 와중에 유럽과 중국(67.1%)의 기술 격차는 2.6년으로 줄어들었다. 선진국과의 기술 격차는 여전한데, 중국의 추격은 거세지는 형국이다.
특히 우리나라는 완성차 설계 및 시스템 통합 기술 분야에서는 선진국과 대등한 수준이지만, 주요 핵심 부품의 수입 의존도가 높아 기술 격차가 줄어들지 않고 있다는 지적이다. 또 핵심 부품을 수입에 의존하다보니, 시스템의 기능 안전성에서도 격차가 확대되고 있다.
이에 따라 자율주행차의 핵심 부품인 영상, 레이더 및 라이다 센서 등의 국산화가 시급한 과제로 부상했다. 하지만 전통적으로 기계 부품 중심인 국내 업체들이 전기·전자 기술이 토대가 되는 핵심 부품을 개발하는 것은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다.
부품업계 관계자는 “센서를 비롯한 스마트카용 핵심 부품 개발이 시급한 과제로 부상했지만, 자체 개발 역량 강화와 인수합병이 여의치 않은 것이 현실”이라며 “완성차, 티어1 부품업체와의 공동 연구 및 국가 차원의 연구개발 지원이 절실하다”고 말했다.
하지만 자동차 분야에서 국가 연구개발 지원은 갈수록 줄어들고 있다. 올해 산업핵심기술개발사업에서 자동차 부문의 신규 예산 지원이 전혀 이뤄지지 않은 것이 대표적이다. 이 사업의 자동차 분야 신규 예산은 2011년 445억원에서 2012년 181억원, 2013년 50억원으로 지속적으로 줄어들었다. 급기야 올해에는 신규 예산이 한 푼도 배정되지 않았다.
이 같은 정부 지원 축소는 국내 자동차 연구 기반 붕괴와 선진국과의 기술 격차 확대로 연결될 수 밖에 없다는 지적이다. 더 늦기 전에 대책을 세워야 하는 배경이다.
양종석기자 jsyang@etnews.com
-
양종석 기자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