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해 최대 화두는 IT와 금융의 융·복합 시대가 본격화될 전망이다. 은행을 중심으로 ‘혁신’을 수용하는 새로운 금융생태계가 형성될 것으로 보인다. 기술금융과 은퇴상품 등 고령화 금융상품 전성시대도 열린다.
18일 금융연구원은 ‘2015년 금융 7대 트렌드’를 선정, 발표했다.
스마트폰 등장으로 IT와 금융 융·복합 시대가 열린다. 연구원은 혁신적인 금융서비스에 대한 소비자의 기대가 고조되면서 IT와 금융의 연계 강화 현상이 나타날 것으로 전망했다.
장민 선임연구위원은 “현재 ICT기업들이 금융권과 협업하면서 새로운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며 “금융의 핵심이자 신뢰기반이 탄탄한 은행을 중심으로 새로운 융합환경에서 협력관계를 모색하는 추세가 계속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은행이 판매채널 다양화 차원에서 ICT기업과의 제휴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빅데이터 분석 기법을 활용해 수요 밀착형 상품 개발에 나설 수 있을 것이라는 설명이다.
기술금융 활성화도 새 트렌드로 자리 잡을 전망이다. 연구원은 TCB를 활용한 기술기업 투자, 지식재산권(IP) 투자회사 운영, 기술이전·거래 등 정책적 유인이 마련될 것으로 예상했다.
중국과 일본 금융회사의 국내 시장 점유 확대도 중요한 추세로 진단했다. 유럽 재정위기로 신용등급이 하락한 유럽계 은행들은 조달금리 상승으로 외화대출이 감소한 반면 중국계 은행은 막대한 자금력을 앞세워 시장점유율을 확대하고 있다는 것이다.
중국은행, 중국건설은행, 중국공상은행, 중국교통은행, 중국농업은행 등 중국계 은행의 외화대출은 2013년 말 3조4527억원으로 전년대비 32% 증가했고 외국계은행 국내지점의 외화대출 점유율 가운데 중국의 비중은 같은 해 26.5%로 유럽계(22.9%)를 앞질렀다.
장 연구위원은 “일본계 자본이 풍부한 자금조달 능력을 이용해 국내 부실 저축은행을 인수하면서 일본계 자본의 저축은행 시장 점유율도 확대됐다”고 말했다.
국내 금융규제 추세와 관련해서는 “금융산업 발전을 위해 행정지도와 모범규준 등 숨은 규제를 완화하겠지만 지배구조 관련 규제는 강화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또 국제 은행권 건전성 규제인 바젤3의 유동성 규제가 도입됨에 따라 향후 건전성 규제도 강화될 것으로 내다봤다.
금리가 오르면 한계기업의 자금조달에 애로가 발생해 건설·조선·해운·철강업 등 주요 취약산업에서 기업 구조조정이 본격화될 수 있다고도 지적했다. 이들 업종은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신규 수주가 감소하고 수급불균형이 지속되는 등 업황 개선이 이뤄지지 않고 있어 재무건전성이 크게 저하될 우려가 있다는 설명이다.
<[표]2015년 금융 7대 트렌드>
길재식기자 osolgil@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