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버스토리]우버, ‘일자리 창출’ 프레임으로 난국타개 돌파구 찾는다

관련 통계자료 다운로드 지난해 우버의 변화

우버가 부정적 이미지를 벗기 위해 ‘일자리 창출’ 프레임을 꺼내들었다. 전 세계 정부 및 택시기사와 각을 세우기보다 유화책을 펼쳐 난국을 타개하려는 전술 변화로 보인다. 공유경제라는 새로운 가치창출 기조가 전 세계적으로 반발과 반대 벽에 부딪히자 일자리 창출 카드를 내건 셈이다. 관련기사 기획면

지난해 우버의 변화
 <2014년 초>
 66개 도시
 29개 국가
 35억달러 가치 평가
 <2014년 말>
 266개 도시
 53개 국가
 400억달러 가치 평가
 (자료: 블룸버그)
지난해 우버의 변화 <2014년 초> 66개 도시 29개 국가 35억달러 가치 평가 <2014년 말> 266개 도시 53개 국가 400억달러 가치 평가 (자료: 블룸버그)

우버는 그동안 불법과 혁신 사이에서 논란이 돼 왔다. 최근에는 우버 시스템을 악용한 성폭행 범죄까지 벌어지면서 유사 운용사업의 불법행위를 지적해온 우버 반대론자의 목소리가 커졌다.

우리나라를 비롯한 상당수 국가의 정부는 “우버가 기존 법에 해당되지 않는 불법 운송사업을 벌이고 있다”며 규제를 강화하는 추세다. 여러 국가에서 우버의 불법 여부를 놓고 소송이 진행되고 있다. 일부 도시에서는 불법성을 문제 삼아 우버 운행 불가를 선언한 곳도 있다.

반면에 우버와 우버 기사 등을 비롯한 정보기술(IT) 업계는 혁신적 서비스의 흐름을 막을 수 없다는 시각이다. 규제를 완화하거나 법 개정을 통해 서비스를 이어가야 한다는 것이다. 아룬 순다라라잔 뉴욕대 스턴경영대학원 교수는 “도시마다 상황이 달라 각국 정부의 결정을 직접 평가하기는 어렵지만 우버나 에어비앤비와 같은 공유경제 사업모델이 일자리 창출과 소비진작 기회가 될 것”이라고 평가했다.

초기에 서비스 제한 일색이던 것과 달리 새로운 사업 모델을 인정하고 서로 윈윈 효과를 내려는 도시도 생겨나고 있다. 미국 보스턴은 우버가 제공하는 차량 교통정보로 시 교통을 원활하게 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우버 반대론자의 반발을 누그러뜨리는 동시에 우버 서비스를 지지하는 주정부로부터 동력을 얻기 위해 우버는 “유럽 여러 도시와 제휴를 맺어 올해 안에 일자리 5만여개를 신설하겠다”는 계획을 내놨다.

김창욱기자 monocle@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