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별에서 온 그대’는 우리나라뿐 아니라 중국에서도 대박을 쳤다. 한국에서 방송된 지 1시간이 지나면 인터넷에 뜨고, 2시간이면 자막판까지 등장할 정도였다. 주인공 대사로 중국에서 치맥 열풍을 불러일으키기도 했다.
이 같은 한류콘텐츠 중국 유통에 커다란 변화가 불가피해졌다. 중국 정부가 종전 지상파 방송에만 적용하던 사전검열 대상을 온라인까지 확대했다. 콘텐츠업체가 중국 소비자를 찾아가기 위해선 검열을 받아야만 한다. 중국의 한국 드라마 팬은 인터넷을 통해 1∼2시간 시차를 두고 한국 드라마를 보는 것을 ‘본방사수’라고 한다. 사전 검열로 이러한 한류 드라마 붐은 앞으로 힘들어질 전망이다.
한국산 제품에 대한 중국의 규제강화는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니다. 과거 마늘 파동에 따른 휴대폰 수입금지 조치 등 양국 간에 잊고 싶은 과거가 적지 않다. 중국 당국의 한류 콘텐츠 검열 강화는 예정된 일이었다. 시간 문제이지, 언젠가 터질 것이라는 게 방송 콘텐츠 업계의 분위기였다.
콘텐츠 사전검열은 보이지 않는 무역장벽이 아닐 수 없다. 한류 바람이 뜨거운 중화권에 대한 비즈니스의 불확실성도 높인다. 인터넷과 모바일 기술의 발전으로 세계가 하나의 시장이 된 지 오래된 상황이다. 사전검열은 적기에 콘텐츠 소비를 희망하는 수요를 충족시키지 못할 게 뻔하다.
문화콘텐츠 수출은 창조경제와 혁신의 대표적인 결과물이다. 드라마 한 편이 가져다 줄 후방산업 파급효과는 엄청나다. 문화콘텐츠 수출이 100달러 늘어나면 소비자와 ICT산업 수출역시 각각 400여달러가량 동반상승한다는 분석도 나왔다. 이 문화콘텐츠 최대 해외 소비처가 바로 중국이다. 이 통로가 중국 정부 규제로 막힐 판이다. 기업 힘으로 이를 극복할 수 없다.
정부가 직접 나서야 한다. 중국 방송콘텐츠 주무부처와 협해 한국 방송제작자 피해를 최소화하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한중 자유무역협정(FTA)를 동원해서라도 해법을 찾아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