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 수출중심 국가다. 수출이 늘어야 경제가 살아나는 구조다. 우리 기업은 반도체, 석유제품, 자동차 등을 해외에 판매해 외화를 벌어들인다. 2013년에 이어 지난해 무역은 트리플크라운(사상 최대 교역규모, 수출, 흑자규모)를 달성했다. 정부는 올해도 전망이 밝아 3년 연속 트리플크라운이 가능할 것으로 내다봤다.
무역에서 좋은 성적을 거두려면 ‘우수한 제품’이 필요하다. 하지만 아무리 좋은 제품도 구매해 줄 시장이 없으면 무용지물이다. 우리나라는 주로 중국, 미국, 아세안, 일본, 유럽연합(EU) 등에 수출한다. 문제는 중국 비중이 26%에 달하고, 중국·미국·아세안을 합치면 50%가 넘는 ‘쏠림 구조’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런 의미에서 정부가 최근 추진하는 ‘중동·중남미 붐’은 긍정적이다. 박근혜 대통령 순방을 계기로 우리 기업의 중동 진출 가능성이 높아졌다. 지난주 막을 내린 미주개발은행(IDB) 연차총회에서 우리나라는 11억달러 규모 한-중남미 개발협력 플랜을 마련했다. 우리 기업의 활발한 현지 진출과 5.8%, 6.5% 수준에 머물러 있는 중동, 중남미 수출 비중 제고가 기대된다.
수출이 내수 경기 부양에 미치는 영향에는 한계가 있다. 해외에서 외화를 벌어들이는 것 못지않게 외국 기업의 국내 투자가 중요하다. 그러나 외국인 투자는 2013년 1조48억달러에서 지난해 9983억달러로 오히려 줄었다. 높은 인건비 등으로 제조 기반 투자 유치는 여전히 쉽지 않은 상황이다.
해결의 실마리는 서비스업에서 찾을 수 있다. 서비스업은 높은 부가가치와 고용창출 효과를 자랑한다. 우리나라는 교육·관광·의료·유통·금융·컨설팅 등 어느 분야에서도 경쟁력을 확보하지 못했다. 우리나라 국내총생산(GDP) 중 서비스업에서 산출된 부가가치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가운데 최하위권이다.
정부는 서비스업 경쟁력 강화에 속도를 내고 있다. 연내 ‘제1호 서비스형 외투지역’을 지정하고, 국가 통계 기반이 되는 한국표준산업분류에 ‘서비스업’을 규정할 계획이다. 정책 몇 가지로 서비스업 경쟁력은 향상되지 않는다. 제조업 중심 국가가 하루 아침에 서비스업 강국이 될 수는 없다. 정부는 차제에 서비스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새 판 짜기’를 고민해야 한다.
유선일기자 ysi@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