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무인자율차, 안전성 평가 기준도 마련해야

자율주행차 시장을 선점하기 위한 선진국 경쟁이 뜨겁다. 자율주행차는 미래 자동차 기술 핵심이다. 각국 정부는 시험도로와 도시를 건설하며 자율주행차 개발을 적극 지원하고 있다. 세계적 자동차 업체뿐 아니라 구글과 애플 등 정보통신기술(ICT) 업체도 자율주행차 개발에 힘쓴다.

벤츠와 닛산, 르노, GM은 2020년 상용화를 목표로 기술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구글은 개발 중인 자율주행차가 올 여름 연습용 주행도로를 벗어나 실제 캘리포니아 마운틴뷰 공공도로를 달릴 예정이다.

우리나라는 자동차 업체 핵심기술 개발이 뒤처지고 각종 규제에 막혀 선진국에 비해 자율주행차 기술 개발 속도가 5년 정도 늦다는 평가다. 도로 위에서 시범주행이 불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자율 조향장치 등 핵심부품 장착은 현행법상 불법이다.

정부는 최근 열린 규제개혁장관회의에서 무인자동차 관련 규제를 손보기로 했다. 자율주행 관련 자동차 기준, 보험 상품 개발, 리콜 및 검사제도 등 상용화에 필요한 제도를 정비한다. 서울 요금소에서 호법분기점 구간을 자율주행차에 하반기부터 단계적으로 개방하고 2020년에는 전국 도로에서 운행이 가능하도록 확대할 계획이다.

정부는 일환으로 20일 완성차와 부품업계와 자율주행차 시범운행 도로 지정과 업계 의견 수렴, 보험상품 개발 등 구체적 조치를 논의한다. 한정된 공간에서만 시범운행하던 자율주행차가 일반 도로를 주행할 날이 멀지 않았다.

문제는 소비자 인식이다. 아직 일반인은 자율주행차에 거부감이 많다. 자율주행차가 획기적인 기술이지만 아직 안전에 우려가 높은 게 사실이다. 주행 중 기계 고장이나 오작동 등 기술 불완전성에 우려감이 높다. 사람 안전과 생명에 직결된 만큼 엄격한 안전성 평가 기준이 마련돼야 한다. 기술 촉진 못지 않게 안전성에도 주의를 기울여야 신기술이 시장에 원활하게 진입할 수 있다.

권상희기자 shkwo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