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속철도 기술이 없었던 우리나라는 프랑스 테제베(TGV)에서 기술을 이전받아 국산화했습니다. 선진 기술을 우리 상황에 맞게 개선한 성공 사례가 KTX입니다. 당장 기술과 인력이 뒷받침되지 못하더라도 성장 발판을 마련할 수 있었죠. 클라우드 산업도 KTX 전략이 필요합니다.”
김학훈 날리지큐브 대표는 우리 클라우드 산업이 ‘골든 타임’을 놓치고 있다고 지적했다. 5년전부터 글로벌 트렌드를 따라가지 못했다. 클라우드 발전법 통과로 맹추격에 나섰지만 구글·마이크로소프트(MS)·아마존 등 다국적 기업을 넘어서기란 쉬운 일이 아니다. 클라우드 산업이 보안 이슈와 맞물리면서 기술과 인력 확보가 늦었다는 판단이다.
그러나 희망은 있다. 김 대표는 “너무 우리 시각에서 클라우드에 접근하면 우물 안 개구리가 되기 쉽다”며 “받아들일 것은 받아들이고 지금 할 수 있는 것에 집중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그는 KTX에서 우리 클라우드 산업 발전 청사진을 봤다. 고속철도 기술력과 전문인력이 부족했던 우리가 프랑스와 협력해 KTX 국산화에 성공했다. 초기 외국 기술 지원이 불가피했지만 이제는 100% 국내 기술로 수출도 검토하고 있다. 클라우드 산업도 같은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는 게 김 대표 생각이다.
“구글·MS·아마존 등 글로벌 기업과 비교하면 우리 클라우드 기술과 전문인력은 열악합니다. 지금 독자적 연구개발(R&D)과 인력 양성을 하더라도 이미 시장 공세에 뛰어든 기업과 경쟁하기 어렵습니다. 이럴 때 해당 기업과 협력해 사업화하면서 필요한 기술을 취하고 전문가를 양성해야 합니다.”
클라우드 가운데 서비스형소프트웨어(SaaS)가 성장 가능성이 가장 크다. 서비스형인프라(IaaS)나 서비스형플랫폼(PaaS)보다 투자 비용이 적다. 기존 상용 SW 스펙트럼이 넓었던 우리가 클라우드로 전환하기도 유리하다. 최근 국산 SW 기업이 글로벌 플랫폼에 자사 SW를 클라우드로 제공하기 시작하는 것도 이 덕분이다. 김 대표는 “SaaS로 해외 수출이 어려웠던 SW 판로를 넓힐 수 있다”며 “글로벌 기업의 플랫폼을 이용할 때 장점도 있다는 사실을 인식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 대표는 ‘클라우드서비스 포럼’ 주관사를 맡고 있다. 5년째 10여개 중소 SW기업과 협력해 클라우드 서비스 발전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앞으로 관련 커뮤니티를 강화하고 클라우드 사업화 아이디어를 구체화하는 등 산업 발전을 지원한다는 포부를 밝혔다.
김 대표는 “자사 지식관리시스템(KMS)도 클라우드로 전환하면서 시장 경쟁력을 확보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며 “좋은 사례를 서로 공유하면서 우리 클라우드 발전 토대를 닦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권동준기자 djkwo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