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뷰]조명희 경북대 국토위성정보연구소장

“국토관측용 차세대 중형위성은 위성정보 효율적 활용에 초점을 맞춰야 합니다. 공공·민간 분야 공간정보 활용이 활성화되면 관련 산업도 성장합니다.”

차세대 중형위성 추진위원인 조명희 경북대 국토위성정보연구소장(융복합시스템공학부 교수)은 국내 위성 공공·민간 활용 전도사다.

조명희 경북대 국토위성정보연구소장
조명희 경북대 국토위성정보연구소장

조명희 소장은 “정부가 현재 추진 중인 차세대 중형위성 12기는 기술 확보도 중요하지만, 민간 활용을 극대화해 위성정보산업을 선진국 수준으로 끌어올려야 한다”고 주장했다.

경북대 국토위성정보연구소는 설립 1주년을 맞아 최근 ‘지구관측위성의 활용과 전망’을 주제로 국제세미나를 열었다. 세미나에 참석했던 국내외 인공위성 활용 관련 전문가는 대부분 민간부문에서 국내위성 활용이 극히 미흡하다고 진단하고 활용률을 높이기 위한 방안을 쏟아냈다.

조 소장은 “아리랑 위성뿐만 아니라 추진 중인 차세대 중형위성 민간 활용이 극대화되면 위성정보관련 기술 기초에서 응용, 융합분야에 이르는 융합기술력을 확보할 수 있다”며 “관련 산업 활성화를 통한 일자리 창출 효과가 클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조 소장은 “차세대 중형위성사업이 지나치게 기술 확보에 치우쳐 향후 민간활용이 뒷전으로 밀리는 것 같아 아쉽다”고 말했다.

정부는 2013년 수립한 우주개발중장기계획에 따라 오는 2025년까지 총 12기의 차세대 중형위성을 개발할 계획이다.

1단계로 2240억원을 투입, 2019년과 2020년에 각각 1, 2호기를 쏘아 올린다. 이 위성은 국토관리 및 재난재해에 대응하기 위한 국토관측용이다. 이를 위해 국토교통부는 올해부터 오는 2019년까지 0.5m급 고해상도 광학탑재체 및 위성영상 활용 기술을 개발하는 국토관측용 위성탑재체 개발사업을 진행한다.

차세대 중형위성이 순차적으로 가동되면 위성에서 보내온 영상을 활용한 민간 서비스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문제는 1, 2호기 국토관측용 위성 영상정보를 사업화하기 위한 위성정보활용센터를 어디에 맡길 것인지가 아직 불투명하다는 점이다. 위성의 민간활용 활성화 첫 단추가 될 위성정보활용센터 설립과 운영에 대한 부처간 협의가 이뤄지지 않았다.

조 소장은 “차세대 중형위성 기술개발 지원은 미래부가 관장하고 영상정보 수신과 공공 및 민간 활용은 국토부나 환경부, 농림부 등 현업부처에 맡기는 것이 위성정보를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이라고 주장했다.

조 소장은 “국민세금으로 쏘아올린 차세대 중형위성이 정보기술(IT)산업과 융합한 국내 위성정보산업 발전과 위성정보기술 해외 수출로 이어지게 하려면 현업부처를 통한 위성정보 활용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설립 1주년을 맞은 경북대 국토위성정보연구소는 국내에서 유일한 위성정보 분야 대학부설 연구소다. 지난 1년간 위성정보 활용 연구개발(R&D)과 실무 맞춤형 인재양성사업을 진행했다. 조 소장은 지난 20여년간 대학에서 공간정보 분야 실무인재 양성 등 국가공간정보발전에 기여한 공로로 지난해 옥조근정훈장을 받았다.

대구=정재훈기자 jhoo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