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스타트 게임코리아] 창업, `넓어진 시장...그러나 만만치 않은 스타트업`

“남들이 보면 사치스럽다고 할 수 있지만 저는 개인적으로 창업가를 도우며 힐링(healing)을 받습니다. 멘토링을 하며 개인적인 치유를 받는 것 외에도 결국 스타트업들이 성공하면 글로벌 게임 플랫폼을 지향하는 스마일게이트에 도움이 된다는 점에서 (창업지원은) 가치있는 일입니다.”

[리스타트 게임코리아] 창업, `넓어진 시장...그러나 만만치 않은 스타트업`

권혁빈 스마일게이트 그룹 회장은 스타트업 지원을 “개인적, 사회적 치유”라고 말했다. 게임은 유난히 창업이 많은 업종이다.

모바일게임 시대가 열리면서 적은 투자금과 인력으로 게임을 만들 수 있게 됐다. 창업에 도전하는 이들도 늘고 있다.

◇생태계 힐링하는 창업, 성공확률은 높지 않아

창업가에게서 힘을 얻는다는 권 회장은 “그러나 개인적으로 창업을 말린다”고 강조한다. 그만큼 창업과정이 쉽지 않기 때문이다.

업계에서는 게임사 창업 후 1년 뒤에도 살아남을 확률이 50%, 2년 뒤에는 80% 이상 회사가 문을 닫는 것으로 본다.

한게임 대표를 역임한 후 2012년 모바일게임사 넵튠을 창업한 정욱 대표는 “2012년, 2013년 굉장히 많은 수의 게임 스타트업이 출현했다가 사라졌다”며 “최근에는 모바일게임도 제작규모가 커지고 성공사례도 일부 기업에 쏠려 예전보다 창업 열기가 덜한 추세”라고 분위기를 전했다.

정 대표 말처럼 최근 10인 이하 소규모 개발사가 만든 게임이 흥행하는 경우는 좀처럼 찾기 힘들다.

1~2인으로 의미 있는 성과를 내는 이른바 ‘인디게임’은 종종 나타나지만 예전처럼 단 기간에 폭발적으로 성장해 업계에 안착하는 사례가 별로 없다.

게임사 관계자는 “가장 최근 성공한 게임 스타트업 사례는 선데이토즈, 데브시스터즈, 파티게임즈 등 2000년대 중후반 창업한 회사들”이라며 “모바일게임이 점점 대형화되며 신생 게임사가 성공하기 쉽지 않은 환경”이라고 말했다.

최근 ‘블레이드’ 흥행으로 상장절차를 밟는 액션스퀘어도 회사 설립 직후 권준모 네시삼십삼분 의장을 시작으로 수억원대 투자를 받았다.

◇창업자들 “자금, 창업 공간이 절실하다”

창업자들은 스타트업 시작시 가장 어려운 문제로 △사람 △자본 △공간을 꼽는다.

최근 3인이 개발한 온라인게임 ‘트리오브라이프’로 한 달 새 수억원대 매출을 올린 오드원게임즈 김영채 대표는 “창업시 가장 곤란했던 문제가 공간”이라며 “기업이나 정부가 무료로 제공하는 시설도 조건이 꽤 까다롭다”고 말했다.

넥슨, 스마일게이트, 네오위즈 등은 각각 공간 입주가 가능한 스타트업 지원 프로그램을 운영 중이지만 제한적이다.

대부분 2~3명 규모 팀으로 이루어진 약 20여개 팀이 6개월에서 1년간 입주할 수 있는 규모다. 2015년 7월 현재 각 사별로 2~3팀이 입주할 수 있는 여유분을 가졌다.

입주는 대부분 서류심사와 대면 미팅을 통해 결정이 된다. 게임사 관계자는 “명문화된 조항은 없지만 팀웍, 게임빌드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한다”고 설명했다.

한 스타트업 관계자는 “이 정도 지원도 예전에는 없었던 것이라 감사하다”면서도 “입주 조건을 낮추고 공간도 더 확보할 필요가 있다”고 바람을 밝혔다.

초기투자도 창업자들이 느끼기에 부족하다. 정부나 민간 기업이 운영하는 펀드는 대부분 가동률이 채 10%가 안 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1000억원 펀드를 조성해도 이 중 100억원 안팎 자금만 시장에 풀리는 것이다. 투자사 관계자는 “게임 성공 확률을 예전보다 보수적으로 보는 편”이라며 “펀드 운영도 실적이기 때문에 신중 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창업가들은 스타트업을 지원하는 프로그램이 체계적으로 구성되길 바란다. 정 욱 대표는 “스타트업들은 (태생적으로) 불안할 수밖에 없다”며 “사회, 국가적 시스템으로 이 불안을 조금이라도 덜 수 있는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정 대표는 “창업자들이 실패했을 때 개인이 입는 피해를 최소화하는 것과 성공한 회사들이 (창업가들의) 실패를 끌어안을 수 있는 토대가 가장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김시소기자 siso@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