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청년 일자리 대책 지속적으로 고민해야

대기업들이 청년 일자리 확대에 팔을 걷어붙였다. 삼성과 LG, SK에 이어 현대차그룹 등 주요 그룹은 최다 10만명에 달하는 청년 일자리 및 신규 채용 계획을 발표했다. 이들 일자리는 정규직을 포함해 인턴까지 채용 형태가 다양하지만 대기업이 이처럼 대규모 채용 계획을 밝힌 것은 올해가 처음이다. 박근혜 대통령이 지난달 24일 청와대에서 대기업 총수를 만나 고용·투자확대를 통한 경제활성화 지원을 촉구한 후 재계가 이에 화답한 것이다.

현재 청년 실업은 ‘고용 절벽’이라 할 정도로 심각하다. 청년실업률은 2013년 8.0%, 2014년 9.0%에 이어 2015년 6월 기준 10.2%까지 치솟았다. 대졸자 51%가 대학을 졸업하고도 부모와 같이 살거나 용돈을 받는 ‘캥거루족’이라는 조사도 있다. 저성장 시대에 청년 실업이 고착화하고 있는 것이다.

이런 상황에서 대기업의 청년 고용 확대는 고무적이다. 사상 최악 청년 취업난이 하반기부터 다소나마 해소되지 않을까 기대된다. 고용계획을 내놓은 대기업의 적극적인 실행으로 청년 일자리가 늘어나기를 바란다.

하지만 대기업 고용 대책이 직접 고용보다는 협력업체 취업 알선이나 인턴십 등 직업 교육 중심이어서 고용의 질이 떨어진다는 지적도 있다. 정부 눈치를 본 성급한 청년 일자리 창출 대책은 비정규직 비율을 더 높이는 후유증이 있을 수 있다. 실제 15∼29세 근로자 비정규직 비율은 2012년 31.6%에서 올 상반기 33.1%로 높아졌다. 결국 청년은 취업만 어려운 것이 아니라 취업에 성공하더라도 임금이나 근로조건 등 고용의 질이 떨어진다.

청년 실업이 늘어나고 고용의 질이 떨어지면 한국경제 성장을 이끌어 온 인적 자본이 손상되는 결과를 낳는다. 실업 장기화와 비정규직 확산으로 인적자본이 훼손되면 한국경제의 미래는 보장할 수 없다. 소중한 인적 자본을 지키기 위해 정부와 기업은 청년 실업 대책과 투자 확대, 미래성장 동력 발굴을 지속적으로 고민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