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통신 역사가 백 서른 살을 맞았다. 1885년 9월 28일 한성전보총국 개국으로 시작된 통신은 경제성장 견인차였다. 초연결 시대에도 대한민국 경쟁력 강화에 핵심 역할을 담당할 전망이다.
21일 KT는 서울 광화문 올레스퀘어에서 ‘대한민국 통신 130년 기념식’을 개최했다. 최양희 미래창조과학부 장관, 최성준 방송통신위원장, 홍문종 미래창조과학방송통신위원장 등 국내외 인사 100여명이 참석했다.
대한민국 통신 중심은 일제 강점기 시절 조선총독부 산하 통신국 설립(1910년), 경성우편국 용산전화분국(1922년), 경성무전전신국(1923년)을 거쳐 체신부(1948년), 한국전기통신공사(1981년)로 발전해왔다. 1905년 통신주권 강탈과 6·25전쟁으로 수난을 겪기도 했다. 1960년대 관련 제도 정비가 이뤄지며 본격적인 고성장 시대를 맞이했다.
KT경제경영연구소가 발간한 스페셜 리포트에 따르면 유선전화 보급이 본격화된 1980년 이후 전화는 이용자에게 63조9000만㎞ 이상 이동거리 절감 효과를 제공했다. 지구와 달 사이를 8800만 번 이상 왕복할 수 있는 거리다.
한 통화당 거리(시내통화 약 24.66㎞ 기준)를 승용차로 이동했다고 가정하면 소형차 평균 연비 1리터당 12.4㎞ 기준 약 2리터 유류비 절감 효과를 거뒀다. 1리터당 1522원을 적용하면 1통화당 평균 3027원 이동비용을 절감하는 셈이다. 1980년부터 2013년까지 유·무선 전체 통화 건수에 적용하면 7847조원의 경제적 가치를 제공했다.
통신은 검색, 인터넷, 전자상거래, 모바일 앱 등 새로운 서비스를 등장시키며 경제 활성화 효과를 가져왔다. 국내 벤처기업 수는 1998년 2042개에서 인터넷 본격 보급 이후인 2001년 1만1392개로 증가했다. 2008년 금융위기 당시 1만1401개였던 벤처기업은 아이폰 도입 이후 2014년 2만9910개로 증가하며 경제에 활력을 불어넣었다.
통신은 아날로그 기반 전통 산업이 새로운 성장을 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줬다. 2002년 4200억원 규모였던 음악산업은 10년 만에 두 배가 넘는 1조원 이상으로 확대됐다. 한류 문화콘텐츠 확산에도 기여했다.
통신은 산업 컨버전스 시대도 주도한다. 네트워크 기술 진화로 5세대(5G) 이동통신 시대 개막을 앞두고 있다.
황창규 KT 회장은 “대한민국은 세계가 부러워하는 인프라를 바탕으로 다양한 분야에서 국제표준을 주도하고 있다”며 “우리나라가 5G 시대를 주도할 수 있도록 노력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대한민국 통신 주요 역사
자료:KT
안호천기자 hca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