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감청고소원(不敢請固所願)은 감히 청하지는 못하지만 본래부터 간절히 바란다는 뜻의 한자성어다. 바라고 있음에도 말 못하고 있다는 의미다. 와이브로 사업자 심정을 이 말만큼 제대로 표현하는 단어가 있을까.
와이브로는 우리나라가 차세대 이동통신 선점을 목표로 지난 2006년 세계 최초로 상용화했다. 4세대 LTE 경쟁 기술로 각광받았고 상용화 시점도 LTE보다 5년이나 앞섰다. 10년여가 지난 현재 와이브로가 처한 현실은 당초 기대와는 동떨어졌다. 4세대 표준기술로 인정받았지만 세계 표준은커녕 사장될 위기다.
LTE가 4세대 표준으로 자리매김한 가운데 판세를 뒤집기는 불가능한 상황이다. 와이브로가 ‘갈라파고스’로 전락했다는 평가도 있다.
와이브로에 할당된 주파수를 LTE-TDD 용도로 전환해야 한다는 주장이 확산되고 있다. 지난 2012년에도 전환 필요성이 제기됐으나 당시 정부가 수용 불가 방침을 천명해 해프닝으로 일단락됐다.
최근 국회에서 전환 필요성이 거론되고 있다. 공감대가 확산되고 있다는 방증이다. 와이브로 사업자는 말을 못하지만 진작부터 전환 필요성을 절감하고 있다. 정부가 결단을 내리면 된다.
우리나라 이동통신 역사에서 와이브로는 아픈 손가락이다. 기존 와이브로 주파수를 LTE-TDD로 전환한다고 해서 와이브로 실패를 자인하는 건 아니다.
와이브로 서비스에 필요한 최소한 주파수를 유지하고 나머지는 LTE-TDD 주파수로 활용하면 된다. LTE-TDD 시장 창출과 와이브로 유지라는 두 가지 목적을 동시에 달성할 수 있다는 말이다.
와이브로 주파수를 LTE-TDD로 전환해야 한다는 각계 요구를 정부가 무조건 회피할 이유는 없다.
김원배기자 adolfkim@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