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수첩] 중소기업 해외진출을 응원하며

[기자수첩] 중소기업 해외진출을 응원하며

경제가 어렵다. 중소기업은 더 이상 내수에서 먹거리를 찾기조차 힘들다. 결국 해외 진출밖에 없다. 해외 진출도 쉽지 않다. 기술력을 갖췄다 하더라도 현지 시장의 저항이 만만찮기 때문이다.

기자가 아는 기업도 사정이 그렇다. 국내에서 주로 건설업체 디자인 그래픽을 하던 이 기업은 건설경기 침체로 직격탄을 맞았다. 그래픽 작업물을 제작하던 공장 가동률은 10%를 넘기지 못했다. 생각한 것이 동남아 신흥국 진출이었다.

처음에는 경제사절단을 따라 단기간 방문했다. 한 달간 현지 시장조사를 했다. 사업 초기인 만큼 좀 더 그 나라에 집중해야 한다는 판단 아래 직원들과 함께 아예 그 나라로 건너갔다. 국내 공장은 일부만 남겼다. 낯선 나라에서 그와 가족은 힘겨운 도전을 하고 있다. 매일 자정쯤 퇴근한다. 마흔 중반을 훌쩍 넘겨 해외에서 ‘제2의 창업’을 하고 있다.

현지 시장 진입은 예전보다 어려워졌다. 기술 장벽은 물론 시장 진입 장벽이 거세다. 개발도상국에서 외국 기업에 대한 규제는 과거보다 강해졌다. 대규모 투자와 현지인 채용 없이는 규제 하나 넘기도 만만찮다. 법은 수시로 바뀐다. 수출 관련 에이전트를 통해 얻는 정보는 제한돼 있다. 에이전트만 믿고 있다가 막상 현지에서 다른 상황을 맞아 당황하는 사례도 적지 않다. 개성공단 규제 못지않다.

해외 진출 시작은 정보 습득에서 출발한다. 공장부지 확보는 물론 현지 법규와 지원제도, 각종 조세제도, 직원 모집 절차와 고용문제, 노사 문제 등도 짚고 나가야 한다. 인큐베이터 형식의 현지 거점도 필요하고 마케팅, 경영 및 법률 지원, 판로개척 등 각종 정보 습득이 필요하다.

정부 유관기관 역할이 그래서 중요하다. 기업 해외 진출은 해당 기업의 모든 역량을 집중해야 하는 ‘혁신적 행동’이듯 정부는 기업이 성공할 수 있도록 모든 정보와 인적네트워크, 법 및 제도 장치를 마련해 줘야 한다. 기업이 겁내면 수출도 없다.

김명희 기업/정책 전문기자 noprint@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