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조선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2020년까지 총 11조원을 투입, 공공 선박 발주를 앞당기고 금융 프로그램을 강화한다. 또 민관공동으로 연구개발(R&D)에 7500억원을 투자해 전문인력 6000명 이상을 양성한다. 이와 함께 설비 23%, 인력 32%를 감축하는 구조조정도 함께 추진된다.
정부는 31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유일호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주재로 제6차 산업경쟁력 강화 관계장관회의를 열고,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조선산업 경쟁력 강화방안`을 확정·발표했다.
우선 조선 수주절벽에 대응해 2020년까지 11조원을 투입, 250척 이상 선박 발주를 추진하기로 했다. 단계적으로 2018년까지 7조5000억원을 투입해 군함, 경비정, 관공선 등 공공선박 63척 이상을 조기 발주한다. 또 2020년까지 선주를 대상으로 3조7000억원 자금을 지원해 75척, 연안화물선과 여객선 등 중소형 선박 건조 금융 우대를 통해 115척 신규 발주를 유도한다. 이와 함께 정상외교 등 고위급 외교채널을 적극 활용해 123억달러 규모 해외 군함 프로젝트 등 해외 수주도 지원할 계획이다.
설비·인력 감축 등 구조조정도 함께 추진된다. 2018년까지 조선 3사 건조설비 23%, 인력 32% 감축을 추진한다. 이렇게 되면 조선 3사 도크 수는 31개에서 24개로 줄고, 인력은 6만2000명에서 4만2000명 수준으로 감축된다. 또 부실 규모가 크고 발주 전망이 불투명한 해양플랜트 사업을 축소하고, 수익성 평가를 강화해 과잉·저가 수주를 방지하기로 했다. 대우조선해양은 상선 등 경쟁력 있는 부문을 중심으로 효율화하고 산업은행을 통한 민영화와 인수합병(M&A) 등 산업 재편을 추진한다.
유일호 부총리는 “조선산업은 2020년에도 발주량이 과거 수준을 회복하지 못하는 등 전반적으로 부진할 것으로 예상된다”라며 “정부는 조선산업을 경쟁력과 수익성 위주로 재편하고 고부가가치 선박 서비스로 외연을 확대해 선박산업으로 전환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개발은 경쟁력을 갖춘 부문을 집중 지원, 고부가가치화 하는데 초점을 맞춘다. 민관공동으로 2400억원을 투입해 정보통신기술(ICT) 융합을 통한 스마트선박과 스마트조선소 핵심 기술을 확보한다. 이를 통해 컨테이너선, 탱커, LNG·LPG선 등 대형 선종 시장 점유율을 현 65%에서 75% 이상으로 확대한다. 또 내년 상반기 중 업계 공동 출자로 해양플랜트 설계 전문회사를 설립해 전문인력 800명 이상을 양성할 계획이다.
중장기 산업 구조개편 방향은 선체 제작에 집중된 현 `조선산업`을 선박서비스를 포함하는 고부가 `선박산업`으로 육성하는 것이 핵심이다. 정부는 사업재편 자금 등 2조7000억원을 활용해 대형선박 수리자급률을 10% 이상으로 높이고, 해양플랜트 유지·보수 핵심 기술 개발과 해외 진출을 지원한다.
이와 함께 환경 규제에 따라 수요 증가가 예상되는 LNG 벙커링 시장도 개척한다. LNG 벙커링은 LNG연료추진선 등 선박에 LNG를 공급하는 서비스를 말한다. 항만운송사업법 개정을 통해 사업의 법적 근거를 마련하고, 벙커링이 가능한 LNG 인수기지를 2020년까지 3개 이상 확보한다는 목표다.
양종석 산업경제(세종) 전문기자 jsyang@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