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분석]<2017 산업 대전망>한미약품 후폭풍·美 대선 `변수` 부각, 리스크 관리 필수

바이오·헬스케어 산업 성장세가 예상되지만 변수도 적지 않다. 한미약품 사태 후폭풍이 언제까지 이어질 지 관건이다. 코앞으로 다가온 미국 대통령 선거도 해외 진출에 사활을 거는 바이오 업계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호재가 이어지던 국내 바이오·제약업계에 `한미약품 사태`는 날벼락과 같다. 승승장구하던 한미약품은 강도 높은 검찰 조사를 받았다. 국가대표 제약 기업이라는 이미지는 한순간에 나락으로 떨어졌고, 도덕성 문제까지 도마에 올랐다.

문제는 한미약품 사태가 국내 제약업계 전반에 악재로 작용한 점이다. 한미약품은 독일 제약사 베링거인겔하임과 표적 항암 신약 기술 수출 중단 사태 이후 프랑스 제약사 사노피와 진행하던 당뇨 신약 임상 시점을 내년으로 연기했다. 공급 물량 부족이 이유다.

녹십자도 혈우병치료제 미국 임상3상을 중단한다고 밝혔다. 신규 환자 모집에 어려움을 겪으면서 임상이 지연됐다. 제품 출시가 늦어지면 사업성도 떨어진다고 판단했다. 유한양행은 퇴행성 디스크 치료제 임상 2상에서 결과를 입증하지 못해 임상을 중단했다.

타 제약사의 임상 중단이 한미약품과 직접 연관은 없지만 글로벌 경쟁력에 타격을 받았다는 것은 부정할 수 없다. 기술은 물론 도덕성까지 도마에 오르면서 해외 진출을 노리는 국내 제약업계의 부담이 적지 않다. 한미약품 후폭풍을 최소화하면서 인지도를 제고할 레퍼런스 확보가 시급하다.

업계 관계자는 3일 “한미약품 사태는 글로벌 기업은 물론 국민이 제약업계를 바라보는 시선을 바꿔 놨다”면서 “부정 인식을 신속히 걷어 내는 것 역시 내년 과제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내년 해외 진출을 강화할 바이오·헬스케어 업계는 미국 대선도 민감한 이슈다. 후보 간 산업정책이 극명하게 대조되는 상황에서 결과를 주시해야 한다.

힐러리 클린턴 민주당 후보는 `미국 의료보험 시스템 개혁 법안(오바마 케어)`을 지속 추진할 가능성이 짙다. 전 국민의 건강보험 가입을 의무화하면서 보험 가입 인구 확대, 의료 서비스 활용 증가가 예상된다. 정부 의료비 지출이 큰 폭으로 확대되는 것은 과제다. 오리지널 의약품 대비 저렴한 바이오시밀러 활용을 확대, 의료비 지출을 효율화할 가능성이 농후하다. 셀트리온, 삼성바이오에피스 등 미국이 아닌 타 국가 기업을 배제하지 않는다면 수혜가 된다.

도널드 트럼프 공화당 후보는 오바마 케어에 아예 부정 입장이다. `보호무역주의`까지 외치면서 자국 산업 보호에 초점을 맞춘다. 거대 로비력을 행사하는 대형 제약사가 바이오시밀러 시장 진입을 방해할 가능성이 있다. 바이오시밀러를 육성한다 해도 자국 기업이 우선이다. 다양한 행정 조치, 보이지 않는 장막 등을 이용해 한국 바이오시밀러 기업 진출을 가로막을 우려가 있다.

미국은 세계 바이오의약품 시장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최대 시장이다. 트럼프 후보가 당선되면 미국 대형 제약사는 우리나라 바이오시밀러 기업에 특허소송을 벌여 시장 진입을 금지 또는 지체시킬 수 있다. 미국 허가 기관을 압박, 승인을 늦추게 할 가능성도 있다.

국내 최초 항체 바이오시밀러를 개발한 셀트리온도 미국 시장 진출에 어려움을 겪었다. 오리지널 의약품 기업이 특허소송을 제기, 시장 진입을 방해했다. 사전에 방지하기 위해서는 규모 있는 현지 기업과 파트너십을 체결해 마케팅, 법률, 유통 등 다방면에서 협력할 필요가 있다.

송용주 한국경제연구원 연구원은 “보호무역주의를 주장하는 후보가 미국 대통령에 당선될 경우 식품의약국(FDA)을 통해 외국 의약품 승인을 늦추거나 유통, 판매 과정에 걸림돌을 만들 수 있다”면서 “셀트리온이 최대 제약사 화이자와 손잡고 미국에 진출한 사례에서 보듯 로비력, 넓은 유통망, 현지 의사와 폭 넓은 관계에 있는 파트너를 확보해야 한다”고 말했다.

정용철 의료/SW 전문기자 jungyc@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