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기의 창조경제]2년차 혁신센터 `선택과 집중`으로 위기 돌파를

창조경제혁신센터는 글로벌 플랫폼 강화와 맞춤형 스타트업 지원 등 `2단계 발전 방안`을 추진한다. 국가 성장 동력을 되살리기 위해 정부와 기업이 공들여 만든 혁신센터 자산과 사업은 흔들림 없이 실행해야 한다는 주장이 설득력을 얻는다.

[위기의 창조경제]2년차 혁신센터 `선택과 집중`으로 위기 돌파를

창조경제혁신센터는 지난해 8월 전국 17개 지역 거점에 출범 이후 창업·벤처 기반을 효과 높게 조성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1년 만에 2800개가 넘는 스타트업, 벤처 기업을 지원해 3000억원 넘는 투자를 끌어냈다.

정치 논란에 밀려 이 같은 성과를 막무가내로 부정해선 안 된다는 목소리가 높다. 창업 중심 혁신 경제를 조성하는 일은 제조업과 대기업 중심 전통산업의 성장 동력이 다한 상황에서 우리나라가 새로운 성장 돌파구를 마련할 유일한 대책으로 평가받는다.

김선일 전국창조경제혁신센터 협의회장은 21일 “신산업이 막 떠오르는 제4차 산업혁명 시대에 대한민국이 치고 나가려면 발명과 특허에 더해 혁신기업가정신이 어우러져야 한다”면서 “창조경제 간판을 달고 잘못을 저지른 사람이 문제지 창조경제라는 국가 성장 어젠다 자체가 위협받아선 안 된다”고 강조했다.

정부와 민간이 마련한 발전 방안을 흔들림 없이 실행으로 옮겨야 한다는 주장이 설득력을 얻는다.

미래창조과학부와 전국 17개 창조경제혁신센터는 출범 2년차를 맞이해 `2단계 발전 방안`을 세웠다. 방안으로 △판로·수출 지원 △창업지원 인프라 강화 △전담기업체제 강화 △센터별 맞춤형 지원 등 4대 역량을 집중 강화할 계획이다.

미래부는 `종합판로지원 플랫폼`을 구축, 스타트업이 혁신센터에서 개발한 상품이 아이디어로 그치지 않고 실제 수익화로 이어지도록 사업화를 지원할 방침이다. 무역 거점인 부산센터를 GS홈쇼핑, 공영홈쇼핑, 네이버 등 기업과 협력해 판로를 개척하고 수출까지 한 번에 지원한다.

창업 지원 인프라는 지속 강화한다. 서울센터와 경기센터는 올해 보육 기업을 기존의 갑절이 넘는 150개로 확대할 계획이다. 대구센터는 가상현실(VR)·증강현실(AR) 등 미래 산업 거점을 추가 조성한다.

지역을 전담하는 기업 역할과 센터 간 교류도 확대한다. 전남센터에는 한국전력공사, 인천센터에는 KT, 울산센터에는 울산과기원(UNIST) 등 참여 전담 기관을 추가해 등 새로운 아이디어와 시너지를 내도록 지원한다는 계획이다.

혁신센터별 맞춤형 품목도 강화한다. 예를 들어 강원 지역에는 빅데이터, 경북 지역에는 스마트팩토리, 충북 지역에는 뷰티사업 등 품목별·주제별 품목을 각각 강화한다.

미래부와 창조경제혁신센터는 발전 방안이 역대 정부의 자금 지원 위주 창업보육 정책의 한계를 벗어난 것이라고 강조했다. 스타트업이 성장할 길을 찾아갈 수 있도록 대기업과 지방자치단체의 역량을 긴밀하게 연결할 집중 지원책을 마련했다.

김광수 민관합동창조경제추진단 부단장은 “창조경제혁신센터 2단계 발전 방안을 차질 없이 추진하겠다”면서 “과거 자금 정책 위주의 벤처 정책에서 한 단계 더 나아가 민간과 지자체의 역량을 융합, 시너지를 극대화할 것”이라고 밝혔다.

박지성기자 jisung@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