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 이미지
박지성 기자

전자신문 통신방송부 박지성 기자입니다. 넓고, 깊고, 쉽게 쓰겠습니다.

기자에게 메일 보내기
  • 기사 썸네일
    “디지털정보격차 감소했지만, 청소년 스마트폰 과의존 증가”...과기정통부 실태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디지털 포용 정책의 국민 체감 성과를 진단하기 위한 2024년도 실태조사를 실시하고 27일 결과를 발표했다. 실태조사는 △일반국민과 디지털 취약계층 간 디지털 정보격차 수준△국내 웹사이트의 웹 접근성 수준 △국민의 스마트 기기·서비스 활용 의존도 수

    2025-03-27 15:51
  • 기사 썸네일
    지역 인공지능·디지털 인재양성 위해 지역대학 역량 모은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정보통신기획평가원과 '지역지능화혁신인재양성'사업의 우수성과를 공유하고 육성방안을 논의하는 '지·혁·인 교류회'를 27일 서울시 그랜드센트럴에서 개최했다. 이번 사업을 통해 대학의 정보통신기술(ICT) 역량을 활용해 지역산업을 고도화·다각화하기 위한

    2025-03-27 15:32
  • 기사 썸네일
    TTA, 유럽 ETSI와 표준화 협력 강화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는 25일(현지시간), 프랑스 소피아앙티폴리스에서 유럽전기통신표준화기구(ETSI)와 디지털 핵심 기술의 글로벌 표준화를 선도하,고 상호 협력을 증진하기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협약을 통해 두 기관은 호라이즌 유럽을 비롯한 국

    2025-03-27 14:57
  • 기사 썸네일
    통신은 AI 산업 발전 핵심역할 “전력·개인정보 과감한 규제개선 필요”

    인공지능(AI) 시대 통신사업자들이 망 사업자에 머무르지 않고 AI·디지털 인프라와 플랫폼, 서비스를 종합적으로 제공하는 '종합 ICT 파트너'로 거듭나는 게 핵심 과제로 지목됐다. 국가 차원의 AI 활용 확산을 위해 전력·개인정보 분야 등 과감한 규제 혁신이 필요하다

    2025-03-27 14:30
  • 과기정통부 2025년 '플랫폼 민간 자율기구' 논의 시작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7일 '플랫폼 민간 자율기구' 데이터·AI 분과와 혁신공유·거버넌스 분과의 2025년 운영 방향을 논의하기 위한 착수 회의를 개최했다. 플랫폼 민간 자율기구는 지난 2022년 8월 플랫폼의 영향력 확대에 따른 생태계 부작용을 해소하고 혁신과 상생

    2025-03-27 13:30
  • 기사 썸네일
    “AI 로봇 무선충전 자유롭게 가능해진다”…과기정통부 규제 개선

    서빙로봇과 스마트팩토리 물류로봇, 산불감시 드론 등에 적용된 무선충전기를 사용하려면 일일이 정부 허가를 받아야 했지만, 이제 인증 제품 구입으로 간편하게 사용할수 있게 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상업·산업용 로봇 등 정보통신기술(ICT) 기기 무선충전기 인증 기준을 기

    2025-03-27 12:00
  • 기사 썸네일
    SK텔레콤, ESG 비전 'DO THE GOOD AI' 공개

    SK텔레콤은 환경·사회·거버넌스(ESG) 경영 전반에 인공지능(AI)를 접목한 'DO THE GOOD AI' 비전을 27일 공개했다. SKT가 새롭게 선보이는 ESG 비전 'DO THE GOOD AI'는 △DO AI △T.H.E. AI △GOOD AI로 구성된다. AI

    2025-03-27 10:58
  • 기사 썸네일
    KT, MS와 전국민 AI 교육 '맞손'

    KT가 마이크로소프트 AI 투어 인 서울(이하 AI 투어)에 참여해 지난해 9월 마이크로소프트와의 전략적 파트너십 체결 이후 진행 성과를 공개하고, 국가 AI 역량 제고를 위해 마이크로소프트와 교육 분야에서 협력한다고 26일 밝혔다. KT와 마이크로소프트는 AI 교육

    2025-03-26 20:20
  • 기사 썸네일
    전파진흥원·식품진흥원, 식품 산업에 ICT 접목 '맞손'

    한국방송통신전파진흥원(KCA)은 한국식품산업클러스터진흥원(FOODPOLIS)과 정보통신기술(ICT) 기반 식품분야 고부가가치 창출과 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27일 밝혔다. 양 기관은 식품산업에 ICT 도입을 확대해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

    2025-03-26 20:05
  • 기사 썸네일
    삼성·SK·현대차·LG·KT 등 재계, 영남지역 산불 지원 성금 행렬

    삼성과 SK, 현대차, LG, 한화, 포스코, KT 등 재계의 영남지역 산불 피해 복구를 위한 성금 지원이 이어지고 있다. 26일 재계에 따르면, 삼성은 대형 산불로 고통을 겪고 있는 경북·경남 지역 주민을 위로하고 피해 복구를 돕기 위해 30억원을 지원하기로 결정했다

    2025-03-26 18:51
  • 기사 썸네일
    KT, 산불 피해 복구 성금 10억원 기탁

    KT가 경상도와 울산 지역에서 발생한 산불 피해 현장 복구와 피해 지역 주민들에 대한 지원이 신속하게 이뤄질 수 있도록 사회복지공동모금회에 성금 10억원을 기탁한다고 26일 밝혔다. KT는 그룹 차원에서 성금과 별도로 산불 진화 현장의 소방대원과 공무원 등 관계자들을

    2025-03-26 16:54
  • 기사 썸네일
    키오스크 접근권 강화 '지능정보화법' 시행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무인정보단말기(키오스크) 설치·운영자가 장애인·고령자 등의 정보 접근 및 이용 편의 제공을 위한 조치를 하도록 의무화하는 '지능정보화 기본법'과 시행령을 27일부터 시행한다고 밝혔다. 지능정보화 기본법은 국가기관등의 정보통신 접근성 보장 의무를 강화

    2025-03-26 16:32
  • 기사 썸네일
    통신3사 AI 데이터센터 경쟁 본격화…민간 중심 AI 인프라 확충

    SK텔레콤, KT, LG유플러스 통신 3사가 인공지능 데이터센터(AI DC) 투자를 본격화한다. AI DC는 AI 서비스 구현에 필요한 대규모 그래픽처리장치(GPU)와 전력시설을 갖추며 AI 시대 필수 인프라 역할을 한다. 26일 통신업계에 따르면, 통신 3사는 올해

    2025-03-26 14:16
  • 기사 썸네일
    [이슈플러스] 통신업계 AI DC 활성화 전력·세제혜택 등 요청

    인공지능 데이터센터(AI DC)는 범 국가적인 AI 확산을 위한 핵심 인프라로 손꼽힌다. 스타트업, 대기업이 혁신 AI서비스를 개발·서비스하는 데 있어 AI DC를 활용한 그래픽처리장치(GPU) 등 활용이 필수다. 미국과 일본 등은 민간 중심의 수십조~수백조원대 대규모

    2025-03-26 13:43
  • 기사 썸네일
    [이슈플러스] 통신사 돈버는 AI 출발점…AI DC 경쟁 시작

    SK텔레콤, KT, LG유플러스 등 통신 3사가 인공지능(AI) 수익화 시작점으로 AI 데이터센터(AI DC) 사업을 본격화하고 있다. AI DC는 AI 학습과 추론 에 필수적인 대규모 그래픽처리장치(GPU) 서버와 전력, 냉각시스템을 제공하는 차세대 데이터센터다. A

    2025-03-26 13: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