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르재단·K스포츠재단 의혹이 최순실 게이트로 커진 데에는 24일 JTBC의 최씨 태블릿 PC 입수 보도가 결정적이었다. JTBC는 이날 최씨 PC에서 발견된 청와대 관련 파일들을 통해 주요 대통령연설문이 유출·수정됐다고 보도했다. 특히 박 대통령 통일로드맵 구체 내용이 언급됐던 드레스덴 연설문까지 포함돼 있어 충격을 줬다.
JTBC의 보도에 앞서 박근혜 대통령은 국회 시정연설을 통해서 `개헌` 카드를 꺼내 국면전환을 도모했지만, 개헌이라는 메가톤급 이슈는 하루도 가지 못하고 수면 아래로 가라앉았다.
바로 다음날인 25일 박 대통령이 `1차 대국민 사과`를 했다. 과거 친분에 의한 순수한 의도임을 강조했지만, 최씨가 연설문을 수정했음을 공식 인정했다. 연설문과 홍보물에 대해서만 의견을 물었다고 했지만, JTBC는 바로 당일 외교, 안보 등 민감한 사항도 있었다고 보도했다.
사안이 커지자 검찰도 본격적으로 움직였다. 27일 검찰은 특별수사본부를 설치해, 수사의지를 보였다. 검찰은 고영태, 정현식 전 K스포츠재단 사무총장을 참고인으로 소환조사한다. 이성한 전 미르재단 사무총장과 조인근 전 청와대 연설기록비서관 등 참고인 조사를 이어갔다.
29일 토요일, 서울 광화문 광장을 중심으로 첫 촛불집회(1차)가 열렸다. 2만여명(주최 측 추산)으로 시작한 1차 촛불집회는 지난 주말 5차까지 매주 이어졌다.
30일 이번 사건의 핵심 인물 최순실이 영국에서 귀국한다. 다음날 31일 검찰에 출두한 후 체포 수사가 진행됐다.
11월 2일 박 대통령은 김병준 국민대 교수를 새 국무총리로 내정하는 등 일부 개각을 단행했다. 하지만 야당과 협의없이 진행한 독단적인 결정이라며 야권이 반발했다. 이날 안종범 전 대통령 정책조정수석이 검찰에 출두하며 수사가 급물살을 탔다.
4일, 박 대통령이 두 번째 대국민 담화를 했다. 박 대통령은 검찰 조사에 협조하고 특검을 수용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하지만 대통령 지지율은 5%대까지 떨어졌다.
이후 검찰 수사가 빠르게 진행됐다. 검찰은 안종범 전 수석, 정호성 전 비서관을 구속(6일)하고 송성각 전 한국콘텐츠진흥원장을 체포(7일)했다. 삼성전자 사옥과 대한승마협회, 한국마사회 등 9곳을 압수수색하고 차은택을 체포(8일)했다. 정몽구 현대차 회장, 김승연 한화 회장,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 손경식 CJ그룹 회장, 조양호 한진그룹 회장 등 주요 기업인 대상 참고인 조사가 이어졌다.
검찰 조사가 계속되자 박 대통령이 15일, 유영하 변호사를 변호인으로 선임한다. 검찰 대면 조사 요청에 즉시 응할 수 없다는 뜻을 밝히며 대국민 담화 발표 내용을 뒤집는다.
20일, 검찰이 중간 수사결과를 발표했다. 최순실(60), 안종범(57), 정호성(47) 등 핵심피의자 세 명을 일괄 기소한다. 검찰은 박 대통령이 최씨 등 범죄사실과 관련해 상당 부분 공모 관계 있다고 판단, 대통령 수사를 진행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검찰 수사 결과 발표 후 정치권도 최순실 게이트 대응에 바빠졌다. 야당은 박 대통령 퇴진과 함께 탄핵 추진을 강하게 밀어붙였다. 새누리당도 비박과 친박으로 나뉘어 탄핵안 가결, 대통령 탈당, 분당 등 주요 사안에 대립했다.
수사는 계속 탄력을 받았다. 검찰은 장시호와 김종 전 문화체육관광부 차관을 구속하고(21일) 이화여대 총장실과 입학처 사무실 등을 압수수색(22일)했다. 청와대 민정수석비서관실 산하 특별감찰반 사무실을 압수수색(23일)하고 문형표 전 보건복지부 장관을 참고인으로 조사(24일)했다.
지난주 토요일인 25일, 5차 촛불집회가 전국에서 진행됐다. 전국 곳곳에서 참여한 인원은 190만명(주최 측 추산)에 달한다. 전국에서 대통령 퇴진과 탄핵 목소리가 커졌다.
검찰이 최순득을 참고인으로 소환 조사(26일)하고, 차은택과 송성각 전 원장을 구속 기소(27일)하며 사실상 대통령 조사만 남겨뒀다. 검찰이 대면조사를 요구했지만 박 대통령이 이를 거부하면서 박 대통령에 대한 비난 여론은 더 커졌다.
29일 박 대통령이 세 번째 대국민 담화를 진행했다. 박 대통령은 대통령직 임기 단축을 포함한 진퇴 문제를 국회 결정에 맡기겠다는 뜻을 밝혔다. 가까운 시일 내에 여러 경위에 대해 소상히 밝히겠다며 기자들 질문에 응하지 않았다.
[朴 퇴진 선언까지 주요 사건 일지]
김지선기자 river@etnews.com, 조정형 에너지 전문기자 jenie@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