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이 자진퇴진 의사를 밝히면서, 정책 브랜드로 내세운 `창조경제`도 동력을 상실할 전망이다.
정권 교체 이후 `창조경제`라는 간판은 바꿔달더라도, 청년 창업을 위한 인프라와 정책은 지속돼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된다.
29일 박근혜 대통령의 자진사퇴 대국민담화 이후, 창조경제혁신센터 등 담당자는 정책 중단을 우려했다.
청년창업을 통해 국가 성장 동력을 되살리기 위해 정부와 기업이 공들여 만든 `창조경제혁신센터`와 같은 자산과 사업이 함께 침몰할 수 있다는 것이다.
하지만, 청년창업 정책은 다음 정권에서도 살려나가야 한다는 주장이다.
창업 중심 혁신 경제를 조성하는 일은 제조업과 대기업 중심 전통산업의 성장 동력이 다한 상황에서 우리나라가 새로운 성장 돌파구를 마련할 대책으로 평가받는다.
하지만, 청년창업대책과 인프라는 역대 정권을 거치는 동안 중복되는 사례가 발생했다.
이명박 정부는 정보통신기술(ICT) 창업 촉진과 벤처 지원을 위해 `테크노파크(TP)`를 판교 등 주요 거점에 설립했다.
반면, 박근혜 정부는 테크노파크와 역할이 유사한 `창조경제 혁신센터`를 전국 17개 지역에 새로 설립, 스타트업 허브로 삼는 정책을 펼쳤다.
이 과정을 반성해 일관성을 보완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정부와 업계는 다음 정부 역시 정권 상징에 맞게 새로운 인프라를 구축하는 방향이 아니라, 기존 인프라와 일관성을 유지하는 바탕 위에 유기적으로 보완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미래부 관계자는 “어느 정권도 청년창업 정책을 나몰라라 할 수는 없을 것”이라며 “정치적으로는 과거 자산을 모두 부정할 수 있지만, 정치문제와 무관한 청년창업인프라는 연속성을 살려 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박지성기자 jisung@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