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소재 연구현장을 찾아서]스핀궤도소재로 차세대 메모리 시장 연다

스핀 궤도 현상, 스핀트로닉스는 메모리 반도체 패러다임을 바꿀 혁신적인 기술로 꼽힌다. 전자 흐름이 아닌 전자 회전과 방향을 이용한다. 이를 정보 저장에 활용하면 고집적·저전력 비휘발성 메모리를 만들 수 있다. 캐시 메모리에 적용하면 부팅이 필요 없는 `인스턴트 온`이 가능하다.

관건은 소재다. 스핀 궤도 현상은 비교적 최근에 발견됐다. 자성체와 비자성체를 조합해 구현 가능한 것으로 알려졌지만 최적 조합은 여전히 탐구 대상이다. 두 물질 사이의 계면도 변수다. 최적 조합을 찾아 상용화하면 차세대 반도체인 자성메모리(MRAM) 시장을 선점할 수 있다.

우리나라는 그동안 반도체 강국이면서도 기초 소재 산업이 취약했다. 이번에는 다르다. 원천 소재부터 직접 연구한다. 미래소재디스커버리 사업 스핀궤도소재연구단(단장 김영근 고려대 교수)이 지난해 말 출범했다.

다행히 이 분야 연구는 우리나라 학자들이 선도하고 있다. 연구단도 최근 이리듐망간 합금을 이용한 스핀궤도소재를 개발하는 성과를 냈다.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등 세계 수준 수요 기업도 있다. 꾸준하고 안정적인 연구가 뒷받침되면 또 한 번 `반도체 퀀텀점프`가 가능하다.

김영근 미래소재디스커버리 사업 스핀궤도소재연구단장(고려대 교수)
김영근 미래소재디스커버리 사업 스핀궤도소재연구단장(고려대 교수)

김영근 스핀궤도소재연구단장은 원천 소재 연구부터 산업 현장 적용까지 `중단 없는 달리기`가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일본 `바통터치 프로그램`, 미국 `MGI(Materials Genome Initiative)`를 예로 들었다. 축적된 연구 성과를 활용하면 소재 상용화 시간을 단축하는 것은 물론 성공률도 높일 수 있다.

김 단장은 “오바마 정부가 주창한 MGI는 발견, 연구부터 적용까지 수십 년이 걸리던 기존 소재 연구의 한계를 극복하겠다는 전략”이라면서 “고전적 소재 연구를 탈피하고 컴퓨터 계산과학, 새로운 실험 기법, 빅데이터를 도입해 이 시간을 절반으로 단축하겠다는 것”이라고 소개했다.

이론, 실험, 데이터 분석 등 학제 별로 분절됐던 과정을 융합해야만 가능한 모델이다. 연구 목표가 달성될 때까지 세부 연구 성과를 유기적으로 이어받는 것도 중요하다. 김 단장이 중단 없는 연구를 강조하는 것도 이 때문이다. 그는 `온고지신` 정신도 강조했다.

김영근 미래소재디스커버리 사업 스핀궤도소재연구단장(고려대 교수)
김영근 미래소재디스커버리 사업 스핀궤도소재연구단장(고려대 교수)

김 단장은 “소재가 어느 날 갑자기 발견되는 것 같지만 사실은 많은 경험과 노하우, 기존 연구 성과의 축적이 필요하다”면서 “과거의 연구 성과, 특히 실험 데이터를 언제든 찾아 쓸 수 있도록 한 해외 사례를 참고할 필요가 있다”고 제안했다.

안정적으로 연구에 몰두할 수 있는 환경, 데이터와 성과가 축적될 수 있는 체계가 갖춰져야 미래 소재 개발이 성공한다는 얘기다.

그는 “소재 연구는 당장의 성과를 독촉하는 것보다 예정된 투자를 지키고 이어나가는 게 중요하다”면서 “스핀궤도소재는 중국 반도체 굴기를 따돌릴 무기인 만큼 반드시 산업화 성과를 봤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송준영기자 songjy@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