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4차 산업혁명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주력 산업 고도화를 지원하기 위해 2025년까지 신(新)소재·부품 100개를 개발한다. 또 융복합 소재·부품 개발 인프라를 개선하고, 중소기업 생산성을 제고하기 위한 혁신 생태계를 활성화한다는 방침이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7일 관계부처 합동으로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제4차 소재·부품발전 기본계획`을 확정했다.
이번 기본계획은 2017년부터 2020년까지 4년간 소재·부품 산업 육성을 위한 정책방향으로 준용된다. 그동안 산발적이고 분절적으로 이뤄졌던 지원 방식을 `연구개발(R&D)→인프라→공정→트렉레코드 확보 및 해외 진출`에 이르는 전주기 기업 활동에서 4차 산업혁명을 지원하도록 전환하는데 중점을 뒀다.
우선 4차 산업혁명과 주력산업 고도화를 뒷받침할 수 있는 신기술을 각각 50개씩 개발한다는 목표다. 4차 산업혁명 중 사물인터넷(IoT) 부문은 5G 이동통신 모뎀, 전자센서용 마이크로 광원부품 등 21개, 로봇은 고강도·고성형 알루미늄, 고효율 모터부품을 포함한 18개 등이다. 또 주력산업 고도화를 위한 센서부품, 마그네슘 판재 제조기술 등도 100개 과제에 포함됐다.
정부는 100개 기술 개발을 위해 역량을 결집할 계획이다. 세부적으로 범부처 협업 프로젝트인 국가전략프로젝트(34개), 부처 간 협업(18개), 산업부 자체 개발(48개 기술)을 통해 추진한다. 미래창조과학부는 혁신적 물성 소재 개발 등 원천기술 확보를 위한 기초 연구를 확대한다.
융복합 소재·부품 개발을 효율적으로 지원할 수 있도록 인프라도 개선한다. 현재 15개 소재·신뢰성 센터를 5개 융합 얼라이언스 체계(금속, 화학, 섬유, 세라믹·전자, 기계·자동차)로 개편하는 것이 골자다. 이와 함께 첨단 정보를 수집·재생산할 수 있는 빅데이터 플랫폼(미래부), 상용화 기간과 비용을 단축할 수 있는 가상공학 플랫폼(산업부) 구축도 추진된다.
이와 함께 전문인력 양성을 위해 소재부품 분야를 총괄하는 인적자원협의체(철강협회)를 지정해 가상공학 전문인력 등을 양성한다.
소재·부품 산업 생태계 활성화는 스마트공장을 2020년까지 1만개로 확대하고, 뿌리기업 스마트화를 3단계 맞춤형으로 지원하는 것이 핵심이다.
또 기업의 글로벌 진출 역량을 향상시키기 위해 글로벌 파트너링 사업을 확대하고, 유망 5대 부품을 중심으로 신규 프로젝트를 추진한다.
문신학 산업부 소재부품정책과장은 “이번 정책을 차질 없이 추진하기 위해 신소재산업협의회를 신소재부품산업협의회로 확대 개편할 계획”이라며 “협의회를 통해 정책 과제를 지속 발굴하고 추진상황을 모니터링하는 등 정책이 효과적으로 추진되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미래 첨단 신소재·부품 100대 유망기술>
양종석 산업경제(세종) 전문기자 jsyang@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