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 쓰는 법, 설날 맞아 알아야 할 필수 정보…이렇게만 하면 어렵지 않다

민족 대명절 설날을 맞아 ‘지방 쓰는 법’에 대한 관심을 모은다.

지방은 집안에서 차례나 제사에 조상을 모시기 위해 종이에 쓴 것을 의미한다. 차례가 끝난 뒤 태우는 것이 우리나라의 풍습이다.

고인을 모신다는 뜻의 ‘나타날 현(顯)’ 자를 먼저 쓴다. 이후에 제주와의 관계, 고인의 직위, 부군 또는 고인의 본관과 성씨, 신위 순으로 작성한다.

차례상에 올리는 것은 폭 5~6cm, 길이 20~22cm 정도의 화선지나 한지에 각 관계에 맞는 양식에 따라 한자 또는 한글로 쓴다.

이어 제사를 지내는 사람과의 관계에 따라 아버지는 고위(考位), 어머니는 비위(妣位), 할아버지는 조고(祖考), 할머니는 조비(祖位)를 쓴다.

순서는 고위(아버지)를 왼쪽에 쓰고, 비위(어머니)를 오른쪽에 쓴다. 한 분만 돌아가셨을 때는 돌아가신 분만 중앙에 쓴다.

마지막으로, 고인과 제사를 모시는 사람의 관계를 작성한 뒤 고인의 직위와 이름을 적고 마지막에 신위(神位)라고 쓰면 된다.


이윤지 기자 (yjlee@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