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산업, 4차 산업혁명으로 활로 찾자] <2>전기차·자율주행차

[신산업, 4차 산업혁명으로 활로 찾자] <2>전기차·자율주행차

스마트화, 서비스화, 친환경화, 플랫폼화로 대표되는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아 자동차 산업이 급변하고 있다. 내연기관 중심 경쟁 체제가 정보통신기술(ICT) 융합을 통해 전혀 새로운 판도로 재편된다. 이 와중에 전기차와 자율주행차가 차세대 자동차 시장을 선도할 대표 신산업으로 부상했다. 우리나라는 짧은 산업 역사에도 불구하고 세계 5위권 자동차 생산국으로 입지를 다졌지만 전기차와 자율주행차 시대에 맞게 산업구조를 혁신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신산업, 4차 산업혁명으로 활로 찾자] <2>전기차·자율주행차

정부도 전기차와 자율주행차 육성에 팔을 걷었다. 우리나라는 전기차 핵심 부품인 배터리는 세계 시장을 선도하고 있지만 주행거리 극복을 위한 완성차 경쟁에서는 뒤처진다. 또 기초적인 자율주행 상용화 수준은 선진국과 유사하지만 핵심 소프트웨어(SW)와 부품은 해외에 의존한다. 이 같은 상황을 극복할 신산업 육성 정책에도 속도가 붙었다.

전기차는 내년에 1회 충전 주행거리를 320㎞ 이상으로 늘리고, 2020년에는 400㎞ 이상 주행할 수 있는 신차 라인업을 확대한다. 배터리 기술 혁신이 핵심이다. 산업통상자원부는 리튬이온전지 에너지 밀도를 두 배로 향상하는 기술 개발에 나섰다. 2020년까지 270억원을 투입해 현재 150Wh/㎏ 수준인 에너지 밀도를 300Wh/㎏까지 높일 계획이다. 또 1톤 전기트럭, 전기 트랙터, 3륜·4륜 마이크로 모빌리티 등 전기차 형태도 다양화한다. 이를 위해 현재 원칙적으로 금지돼 있는 화물운수사업 신규 허가와 증차를 전기차에 대해 허용해 물류 차량 활용을 유도한다.

자율주행차는 레벨3 이상을 구현할 수 있는 핵심 기술 개발에 초점을 맞춘다. 각종 센서와 통신모듈, 디지털맵 등 8대 핵심 부품 국산화에 올해부터 2021년까지 1455억원(국비 779억원 포함)이 투입된다. 또 자동차-ICT-인프라 연계 SW 개발도 추진된다. 주변 상황 인식용 데이터베이스(DB)를 구축하고 클라우드를 활용한 딥러닝 인공지능 기술 등이 포함된다. 4차 산업혁명 핵심 기술을 자율주행차에 접목하는 셈이다.

도경환 산업부 산업기반실장은 “전기차와 자율주행차는 우리나라 전통 산업 기반과 4차 산업혁명 핵심인 ICT를 융합해 산업구조를 혁신하고 새로운 시장을 창출할 수 있는 핵심”이라며 “규제 완화와 R&D 지원, 인력 양성을 병행해 전기차를 수출 산업으로 육성하고 자율주행차는 2025년 레벨4 수준 완성차를 생산할 수 있도록 정책 지원을 강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양종석 산업경제(세종) 전문기자 jsyang@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