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분석]비트코인 열풍, 블록체인으로 전이...분산원장 기술 부상

비트코인은 중앙통제기관이 없는 P2P 기반 디지털 화폐다.

2009년 사토시 나카모토(가명) 프로그래머가 개발했다. 2013년 가격이 전년 대비 90배 이상 급등하면서 관심을 받기 시작했다.

그런데 최근 비트코인 연관어로 블록체인이 거론된다.

바로 분산원장 기술 때문이다. 분산원장이란 거래가 발생했을 때 데이터를 중앙집중형 장부에 기록, 보관하는 기존 방식과 달리 거래 참가자 모두에게 내용을 공개하는 분산형 디지털 장부를 뜻한다.

과거에는 이중 사용 문제 때문에 전자거래에 도입하는 데 어려움이 있었다. 예를 들어 A씨가 인터넷으로 10만 원짜리 옷을 주문했다고 가정해보자. A씨의 통장 잔고는 10만원 뿐이다. 용돈이 떨어진 A씨는 거래를 조작하기 위해 판매자에게 10만원을 송금하고 곧바로 본인 명의의 다른 계좌에도 10만원을 송금한다. 컴퓨터 네트워크 특성상 어떤 거래가 먼저 분산원장에 인식될지 알 수 없다는 점을 노린 것이다.

이 경우에 어떤 사용자에게는 판매자와의 거래가 먼저 인식되고, 다른 사용자에게는 A씨의 꼼수 거래가 먼저 인식된다. 하지만 과거에는 사용자 간 합의 절차가 없었기 때문에 어떤 거래가 공식적으로 인정돼야 하는지 정할 수 없었다. 때문에 판매자가 옷을 보내고도 돈을 받을 수 없는 상황이 발생한다.

반면에 블록체인을 활용하면 네트워크 사용자 사이에서 거래 순서에 대한 합의가 이뤄진다. 때문에 이중사용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블록체인 기술 적용 원리는 간단하다. A씨가 판매자에게 10만원을 송금할 것을 요청한다. 이 거래는 다른 수많은 거래들과 함께 하나의 새로운 블록에 담겨 네트워크에 전송된다. 하지만 참여자들은 해당 블록에 대한 검증작업을 시행한다. 블록이 승인되면 분산원장의 블록체인에 결합하고 송금이 완료된다.

블록체인 적용사례 중 가장 널리 알려진 비트코인의 경우, 10분마다 블록이 생성·승인되도록 설계돼있다. 거래가 승인된 이후 6개 블록이 추가적으로 결합되면 거래가 안전하게 이뤄진 것으로 본다. 거래 이후 더 많은 블록이 결합될수록 조작 여력이 떨어진다. 6개 블록이 결합된 이후에는 이중 지불 가능성은 0.1% 이하로 하락하게 된다.

기술적인 한계도 있다. 일단 거래를 검증할 때 모든 장부를 대조하기 때문에 거래 처리속도가 상대적으로 느리다. 또 모든 거래 기록을 저장하기 때문에 블록체인 용량도 문제가 된다. 현재 블록체인이 차지하는 저장 공간은 45GB가 넘는다. 한번 집행된 거래는 다시 되돌릴 수 없기 때문에 실수나 오류가 있어도 강제로 반환할 수 없는 점도 해결과제로 꼽힌다.

길재식 금융산업 전문기자 osolgil@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