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만 청년실업 악화…미국·EU·일본은 개선

한국만 청년실업 악화…미국·EU·일본은 개선

올해 한국 청년실업률이 주요 국가 중 유일하게 전 분기 대비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 유럽연합(EU), 일본 청년실업률이 일제히 하락한 것과 비교된다.

14일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에 따르면 1분기 한국 15∼24세 청년층 실업률은 10.0%로 지난해 4분기 9.9%에 비해 0.1%P 상승했다.

OECD 회원국 중 전분기 대비 청년층 실업률이 상승한 국가는 오스트리아(10.4→10.5%), 라트비아(16.9→17.4%), 칠레(15→16.1%)뿐이다. 나머지 국가는 모두 청년층 실업률이 개선됐다.

OECD 회원국 평균으로는 청년층 실업률이 12.7%에서 12.3%로 0.4%P 하락했다.

국가별로 보면 EU 청년층 실업률은 18.1%에서 17.4%로 무려 0.7%P 하락했고, 미국은 10.2%에서 9.7%로 0.5%P, 일본은 4.8%에서 4.4%로 0.4%P 각각 하락했다.

OECD 국가 중 가장 가파르게 청년층 실업률이 떨어진 국가는 이탈리아(-3.5%P), 포르투갈(-2.5%P), 스페인(-1.8%P) 등 남유럽 국가였다. 덴마크와 프랑스도 각각 0.3%P씩 청년층 실업률이 하락했다.

청년층이 아닌 전체인구를 기준으로 봐도 한국 실업률 역주행은 두드러졌다. 한국 실업률은 지난해 4분기 3.63%에서 올해 1분기 3.76%로 0.13%P 상승했다. 상승 폭은 OECD 회원국 중 가장 높았다.

OECD 회원국 가운데 전체 실업률이 상승한 국가는 한국 외에 호주(0.11%P), 칠레(0.10%P), 프랑스(0.07%P), 핀란드(0.03%P) 등 4개국 뿐이었다. OECD 회원국 평균은 6.2%에서 6.1%로 0.11%P 하락했다.

권건호 전자산업 전문기자 wingh1@etnews.com